월스트리트저널이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들어 논란

월스트리트저널이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들어 논란

김규환 기자
입력 2018-10-04 15:19
업데이트 2018-10-04 15: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상통화 WSJ코인 발행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스티븐 러셀리로 기자. WSJ 홈페이지 캡처
가상통화 WSJ코인 발행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스티븐 러셀리로 기자.
WSJ 홈페이지 캡처
미국의 경제 전문지인 월스트리트저널이 언론사 사상 처음으로 가상통화(암호화폐)를 발행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자체 가상통화 ‘WSJ코인’을 발행한다고 밝혔다. WSJ는 “지난해까지 가상통화 가격이 치솟았다가 지금은 거품이 꺼졌다”면서 “무엇이 가상통화 시장을 움직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코인 발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WSJ코인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과 해킹, 시장 가격 조작, 늘어나는 규제 등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WSJ코인의 발행량은 모두 84억개로 정해졌다. WSJ는 WSJ코인을 자사 구독료 결제 등에 쓰이도록 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그러나 가상통화 관련 업계에선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언론사가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엘리자베스 로지엘로 비트페사 CEO(최고경영자)도 “코인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면 온라인 뉴스 소비는 어떻게 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이런 가운데 WSJ은 2일 가상화폐를 자동으로 사고팔도록 고안된 봇(Bot)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봇은 거래자가 매매와 매수를 할 조건을 설정해놓으면, 자동으로 매매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봇을 통한 거래는 인간이 직접 거래하는 것보다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상화폐 전문 헤지펀드 운용사 버질캐피털은 2018년 초 봇이 이더리움을 이용한 펀드에 공격하면서 자금을 잃었다. 스테판 퀸 버질캐피털 매니저는 “잠재적인 불법 활동을 확인하기 위해 오류 처리 기능을 구축해야 했다”며 “봇은 가상화폐 공급이나 수요가 더 많다는 신호를 잘못 전달하면서 투자자를 혼란시킨다”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