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평화의 소녀상’을 ‘위안부상’이라고 부르라고 어디서 망언을 하나!

‘평화의 소녀상’을 ‘위안부상’이라고 부르라고 어디서 망언을 하나!

김인석 기자
입력 2017-01-11 17:36
업데이트 2017-01-11 17: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평화의 소녀상
평화의 소녀상 11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끝난 후 중학생들이 소녀상 뒤에 서서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7. 1. 11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상징하는 평화의 소녀상을 부르던 ‘위안부 소녀상’이란 명칭 대신 ‘위안부상’이라고 부르라고 일본의 극우 언론사인 산케이신문이 11일 일본 정부를 압박하는 행태를 보였다.

이날 오전 일본 총리관저에서 열린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의 정례 브리핑에서 산케이신문 기자는 “한국의 ‘위안부상’ 명칭에 관해 묻겠다”며 평화의 소녀상을 ‘위안부상’으로 규정하며 질문을 시작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 위안부상을 소녀상이라고 불러왔다. 그러나 단순히 소녀의 상이라면 어디에 설치해도 된다는 인상을 받는 만큼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이 문제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억지로 소녀상으로 부르는 것으로, 정치적 의도를 옅게 하기 위한 것이란 지적이 있다”며 “이(상의 명칭)에 대한 정부의 견해를 밝혀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스가 장관은 “어제 브리핑에서 ‘위안부 소녀상’이라는 표현을 했다”며 “그런 배경(한국의 의도 등을 의미)에서 정부로서는 그런 표현(위안부 소녀상)을 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산케이신문 기자는 “지금부터 위안부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겠다는 것이냐”고 따졌고, 스가 장관은 “어제 위안부 소녀상이라는 말을 했다. 내 발언이 전부다”라고했다. ‘위안부 소녀상’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스가 장관의 이런 답변은 ‘위안부상’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경우 부산 소녀상 설치 이후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일 한국대사 일시귀국 등의 조치로 악화된 한일관계가 더 악화할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가 ‘소녀상’이라는 명칭 대신 ‘위안부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한국 내 반일 감정이 한층 고조되면서 양국간 접점 모색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산케이신문은 앞서 지난 8일에도 칼럼을 통해 “일본 정부나 많은 일본 미디어가 ‘위안부상’을 한국식으로 ‘소녀상’으로 부르는 것은 이상하다”며 “정치적인 위안부상이라서 문제다. 단순한 소녀상이면 어디든지 마음대로 세워라”라고 주장했다.

한편 일본 언론 가운데 산케이신문을 제외하고는 위안부상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주요 언론 가운데서는 교도통신과 도쿄신문은 ‘위안부 피해를 상징하는 소녀상’이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NHK와 아사히신문은 ‘위안부 문제를 상징하는 소녀상’, 요미우리·마이니치신문은 ‘위안부를 상징하는 소녀상’,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종군위안부를 상징하는 위안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