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세계은행 총재 만장일치로 연임 “경제 완충재 만들 것”

김용 세계은행 총재 만장일치로 연임 “경제 완충재 만들 것”

김규환 기자
입력 2016-09-28 23:08
업데이트 2016-09-29 0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계 미국인인 김용(57) 세계은행 총재가 연임됐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 AFP 연합뉴스
김용 세계은행 총재
AFP 연합뉴스
●차기 임기 내년 7월부터 5년간

세계은행은 27일(현지시간) 이사회를 열고 차기 총재 후보로 단독 출마한 김용 총재의 연임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는 2030년까지 절대 빈곤 퇴치 목표와 개발도상국가 소득 하위계층 40% 인구 수입 증가를 위한 그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연임 배경을 설명했다. 김 총재는 이날 성명을 통해 “두 번째 임기 중에는 민간부문 투자 인프라를 통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교육·보건·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경기 침체 위험에 맞서 세계 경제를 위한 완충재를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차기 임기는 내년 7월부터 5년간이다.

김 총재 연임은 지난 8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그를 차기 후보로 지지하면서 이미 예상됐던 일이다. 미국은 2차대전 이후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설립을 주도했으며, 세계은행의 최대 지분을 갖고 있는 나라다. 미국의 의중이 세계은행 총재 선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세계은행 설립 뒤 70여년 동안 총재는 미국인이 맡았다.

●빈곤 퇴치·난민사태 해결 앞장서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 총재는 5살 때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브라운대 졸업한 뒤 하버드대에서 의학박사와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세계은행 총재가 되기 전에는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 국장을 지내는 등 보건 분야에서 주로 경력을 쌓았다. 2009년 한국계 최초로 미 아이비리그 대학인 다트머스대 총장에 올랐다.

김 총재는 2012년 세계은행 총재로 선임된 이후 첫 임기 4년 동안 아프리카 에볼라와 유럽·중동의 난민 사태를 적극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특히 내부 구조조정과 개혁을 통해 4억 달러(약 4382억원)의 행정비용을 줄여 재투자하는 등 개혁 드라이브를 걸었다. 1만 5000여 직원들은 “세계은행은 ‘지도력의 위기’에 직면했다”는 서한에 서명하는 등 직원들은 그의 연임에 반발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6-09-29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