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7 한 대 제조원가 225달러…판매가의 35%”

“애플 아이폰7 한 대 제조원가 225달러…판매가의 35%”

입력 2016-09-21 09:05
업데이트 2016-09-21 1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프트웨어 빼고 ‘부품+제조비용’ 추산…“갤럭시 S7은 255달러”

애플 아이폰7 한 대의 제조원가가 225달러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아이폰 6s보다는 20% 상승한 액수로, 판매가 649달러의 35% 수준이다.

시장조사기관 IHS마켓은 20일(현지시간) 낸 성명에서 아이폰7을 해체해본 결과, 한 대를 만드는데 모두 224.80달러가 드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저장용량 32GB짜리 아이폰7의 부품자재비용 219.80달러에 조립 등 제조비용으로 5달러를 추가한 결과다.

이는 보조금을 제외한 아이폰7의 판매가격 649달러(32GB 기준)의 35% 수준이다.

아이폰 6s 한 대를 만드는데 드는 187.91달러에 비해서는 19.6%인 36.89달러 많은 액수다.

앤드류 래스웰러 IHS마켓 선임이사는 “앞서 삼성제품을 해체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이폰7의 부품자재 비용은 전 모델에 비해 상승했다”면서 “이어폰잭을 없애면서 이어폰 단자의 비용이 추가로 들어가는 것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동일선상에 놓고 봤을 때 여전히 애플은 삼성보다 하드웨어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크지만, 원가가 과거보다 상승한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IHS마켓은 소프트웨어 등의 가격 등은 제조원가 추산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IHS마켓은 갤럭시 S7을 해체해본 결과 제조원가를 255달러로 추산한 바 있다. 이는 S7의 판매가 650∼700달러의 39.2% 수준이다.

아이폰7플러스의 제조원가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IHS마켓은 삼성 갤럭시노트7의 제조원가 추산을 위한 해체작업을 현재 진행 중으로, 다음 달 6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한화투자증권은 갤럭시노트7의 리콜비용을 추산하면서, 제조원가를 300달러가량으로 추산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