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문부상 “세계기록유산제도 손질해야”…유네스코 총회연설

日문부상 “세계기록유산제도 손질해야”…유네스코 총회연설

입력 2015-11-06 04:28
업데이트 2015-11-06 0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난징자료 등재한 中견제·위안부 자료 등재 저지모색

난징(南京) 대학살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강하게 반발한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총회를 무대로 기록유산 제도의 변경을 요구하고 나섰다.

하세 히로시(馳浩) 일본 문부과학상은 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총회 연설을 통해 “(세계기록유산제도의) 개선을 조속히 실현하도록 논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또 유네스코 유산사업에 대해 “회원국간 상호 이해와 연대를 강화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밝히고 “사람의 마음 속에 평화의 보루를 구축하는 유네스코의 기본 정신을 바꾸면 안 된다”며 난징 대학살 자료의 기록유산 등재를 관철한 중국을 견제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난징 대학살 자료가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자 유네스코 분담금 제공 중단 및 삭감 등을 거론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일부 일본 언론이 이 같은 비(非) 외교적 대응을 비판하고, 2차대전 패전 후 시베리아에 억류됐던 일본인 관련 자료가 일본의 신청에 의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데 대해 러시아 정부가 반발함에 따라 일본 정부는 ‘역풍’을 맞았다.

그러자 일본 정부는 기록 내용에 대한 구체적 검증없이 기록의 보존 가치만을 평가하는 현재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제도를 바꾸는 전략을 세웠다. 이는 특정 기록물의 등재에 대한 관련국의 ‘이견’을 반영하는 통로를 만들려는 것으로, 군위안부 관련 자료의 등재를 저지하기 위한 포석으로 볼 여지가 있다.

중국이 난징대학살 자료와 함께 신청한 군위안부 자료는 올해 등재가 불발됐지만 향후 한·중이 공동으로 등재를 재추진할 가능성이 제기된 상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