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문가들 “북한, 다음달 사이버 도발 가능성 있다”

미국 전문가들 “북한, 다음달 사이버 도발 가능성 있다”

입력 2015-09-15 04:28
업데이트 2015-09-15 0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 고강도 사이버 도발시 무력충돌로 이어질 가능성”

북한이 다음 달 10일 노동당 창건 기념일에 즈음해 사이버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전문가들이 경고했다.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와 이 연구소의 사이버 전문가인 스콧 라포이 연구원은 14일(현지시간) ‘북한의 사이버 작전: 전략과 대응’이라는 주제로 미국 워싱턴 D.C. CSIS에서 개최한 세미나에 나와 이같이 밝혔다.

차 석좌는 “다음 달 노동당 창건 기념일 때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수도 있지만 다른 도발을 꾀할 수 있다”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등 물리적 수단 이외에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차 석좌는 “북한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으로서는 새로운 형태의 무기인 사이버 공격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은행이나 전력망, 언론사에 대한 공격이 있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이어 “북한으로서는 사이버 도발이 대외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 수 있는데다가, 미국과 한국이 우려하는 공격 능력을 과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라포이 연구원도 “북한이 사이버 공격을 꾀할 가능성이 충분히 열려있다”며 “목표물이 어떤 것이 될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전략적 가치가 높은 은행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라포이 연구원은 북한의 사이버 도발에 대한 대응조치와 관련해 “활동적(kinetic) 수단으로 대응하는 것은 긴장 고조의 우려가 높다”며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고 대북 확성기와 같은 비대칭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으로부터 사이버 공격을 받았을 때 물리적 대응을 할 수 있지만 이것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고 “물리적 대응을 옵션의 하나로 테이블 위에 올려놓아야 하지만 가장 책임 있는 대응수단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라포이 연구원은 이 연구소의 제니 전 연구원과 함께 만든 보고서에서 “앞으로 북한이 감행할 사이버 공격은 저강도 공격이 될 가능성이 있지만, 사이버 무기를 재래식 무기와 통합하는 형태로 대담한 고강도 공격의 양상을 띨 수 있다”고 지적하고 “이 경우 한국과 미국과의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현재로서는 북한 도발의 대부분이 저강도이지만, 앞으로 북한이 고강도 사이버 공격과 사이버 능력에 의존한 재래식 도발에 의존해 비상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