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후쿠오카서 조선인추모비의 ‘강제연행’ 문구 수정요구

日후쿠오카서 조선인추모비의 ‘강제연행’ 문구 수정요구

입력 2015-09-09 13:44
업데이트 2015-09-09 1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부 주민 “일본 정부 견해에 반하는 표현” 주장하며 진정서 제출

일본 후쿠오카에 설치된 징용 조선인 추모비의 담긴 ‘강제연행’ 문구를 일부 주민이 문제 삼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산케이(産經)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후쿠오카(福岡)현 이즈카(飯塚)시 소재 시립 ‘이즈카영원’(靈園, 공동묘지)에 있는 조선인 추도비의 문구를 수정하라고 일부 주민이 사이토 모리치카(齊藤守史) 시장과 고이카와 신지(鯉川信二) 시의회 의장에게 8일 진정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추도비에 “일본 식민지 정책에 의해 수많은 조선인과 외국인이 일본 각지에 강제 연행됐다”, “지쿠호(筑豊)에서는 15만 명이나 되는 조선인이 탄광에서 가혹한 노동을 강요당했고 많은 사람이 희생됐다”고 일본어와 한글로 기재된 것을 문제삼고 있다.

이와 관련해 진정서에는 강제연행이 일본 정부의 견해에 반한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진정서를 낸 이들은 또 비석이 설치된 이즈카영원 내 ‘국제교류광장’ 토지 일부를 ‘국제교류광장무궁화당우호친선모임’이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문제를 삼았다.

이들은 문구를 수정하도록 비석 관리자 측과 협의하라며 시와 시의회를 압박하는 것으로 보인다.

추모비는 2000년 재일한국·조선인과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로 구성된 ‘재일 지쿠호 코리아 강제연행 희생자 납골식 추도비 건립실행위원회’가 납골당인 ‘무궁화당’과 함께 건설했다.

당시 이즈카시 직원으로 구성된 노동조합이 기부금을 모아서 건립을 도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