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상실’ 홍콩시위 종결 국면…중단여론 대세

’동력상실’ 홍콩시위 종결 국면…중단여론 대세

입력 2014-11-20 00:00
업데이트 2014-11-20 1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법회 기습’ 후 반대여론 80%… ’물리적 충돌’ 가능성은 여전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 선거에 대한 완전한 ‘직선제’ 도입을 요구하는 홍콩 시민의 ‘센트럴 점령’ 시위가 사실상 종결국면을 맞고 있다.

강제철거에 돌입한 홍콩당국이 이번 주 안으로 모든 시위지역에 대한 ‘정리작업’을 완료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데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시위중단’ 목소리가 대세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20일 홍콩 언론들에 따르면 시위 반대여론은 18일 밤∼19일 새벽 발생한 일부 시위대의 입법회(우리 국회격) 강제점거 시도를 계기로 급격히 상승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전날 긴급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입법회 사건은 ‘센트럴 점령’ 시위의 비폭력 원칙이 철저하게 실패했음을 보여준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82%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홍콩섬 애드미럴티(金鐘) 지역에 집결했던 시위대 일부는 18일 밤∼19일 새벽 수차례에 걸쳐 입법회 강제점거를 시도했고 그 과정에서 바리케이드, 벽돌 등으로 입법회 입구 등을 충격해 출입구 두 개를 파손했다.

이번 사건으로 입법회 회의는 연기됐고 홍콩당국과 의회는 비난성명을 냈다.

홍콩 내 여론이 ‘시위중단’ 쪽으로 급격히 기울고 있다는 점은 홍콩대학이 전날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도 확인된다.

83%의 응답자가 ‘시위중단’을 요구했고, ‘계속해야 한다’는 응답률은 13%에 그쳤다. 68%는 시위대 점거구역에 대한 ‘정리’에 찬성한다고 대답했다.

홍콩사회는 당국의 강제철거 확대에 시위대가 어떤 대응을 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 홍콩 동방일보는 까우룽(九龍)반도 몽콕(旺角)지역 시위대에 대한 강제철거는 진정한 ‘공성전’이 될 가능성이 있다며 악전고투가 전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몽콕지역의 경우 시위대가 강제철거에 대비해 쇠사슬, 철사, 쇠못 등으로 강력한 방어막을 구축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번 시위를 주도해온 대학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학련)와 중고교 단체인 학민사조(學民思潮) 측은 ‘강제해산’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특히 점거구역을 쉽게 축소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당국은 이번 주 안으로 몽콩 지역에 대한 바리케이드 강제철거에 나설 가능성이 있으며 이번 작전에 1천500명의 경찰을 투입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전날 밤 8시30분께 몽콕지역에 집결한 200∼300명의 시위대가 입법회 점거시도에 대한 지지 여부를 놓고 논쟁을 벌이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시위동력이 소진된 상황에서 시위대가 도심점거를 더 이어가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분석이 많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아시아판은 최근 시위가 장기화하면서 시위대는 홍콩당국과의 대화중단, 강제해산 위기, 시민의 지지율 하락이라는 ‘3중고’에 직면해 진퇴양난의 상황에 빠져 있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이날로 54일째를 맞은 ‘센트럴 점령’ 시위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지난 8월 말 차기 홍콩 행정장관 후보의 자격을 사실상 친중성향 후보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촉발됐다.

시위는 초반만 해도 많은 시민이 동조하면서 10만 명 이상이 거리를 메웠지만, 중국당국이 강경태도를 고수하고 시위 장기화로 인한 경제피해까지 불어나면서 동력은 급격히 소진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