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낙상 주범은 복용하는 약”<스웨덴 연구팀>

“노인 낙상 주범은 복용하는 약”<스웨덴 연구팀>

입력 2014-08-13 00:00
업데이트 2014-08-13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인들에게 가장 많이 처방되는 20가지 약 중 절반이 노인들의 낙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과대학의 예테 몰러 박사는 65세 이상 약 700만명과 낙상으로 입원한 6만4천399명의 의료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들에게 가장 흔히 처방되는 야 20가지 중 11가지가 심한 낙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11가지 약은 항우울제, 진통제, 수면제, 진정제 등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항우울제와 마약성 진통제가 낙상과 강력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남성과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는 남녀는 이를 복용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낙상 위험이 2배 이상 높았다.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여성은 낙상 위험이 75% 높았다.

이밖에 소화성 궤양과 위식도역류질환(GERD) 치료제, 비타미B12, 비마약성 진통제는 낙상 위험을 15-75%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트로겐과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들은 낙상 위험과 연관이 없었고 오히려 낙상 위험을 다소 낮추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고용량 이뇨제만은 예외였다.

그러나 소화성 궤양, 비타민B12, 항응고제는 약 자체보다는 이 약이 투여된 이유인 기저질환이 낙상의 원인일 수 있다고 몰러 박사는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유럽 공중보건 저널(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최신호에 실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