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치료제 어디까지 왔나…긴급투여 ‘지맵’ 주목

에볼라 치료제 어디까지 왔나…긴급투여 ‘지맵’ 주목

입력 2014-08-05 00:00
업데이트 2014-08-05 16: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국인 의사와 자원봉사자가 ‘지맵’(ZMapp)이라는 실험단계 치료제를 긴급 투여받고 호전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약이 에볼라 확산을 막아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CNN 방송은 4일(현지시간)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치료를 담당하다 감염된 켄트 브랜틀리(33) 박사와 자원봉사자 낸시 라이트볼(60) 여사에게 지맵이 긴급 투여됐다며 이 약물이 이들의 생명을 구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지맵 투여로 상태가 호전돼 미국 송환이 가능해졌다. 브랜틀리 박사는 지난 2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도착해 에모리대학병원에서 격리치료를 받고 있으며 라이트볼 여사도 5일 이 병원에 도착할 예정이다.

지맵은 에볼라 확산 공포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개발에 속도를 더하고 있는 에볼라 치료제·백신 가운데 하나로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바이오벤처 맵(Mapp) 바이오제약이 개발, 영장류 실험만 마친 실험단계 치료제이다.

맵 바이오제약은 2012년부터 에볼라 바이러스가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에 대비해 미국 국방부 국방위협감소국(DTRA)과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아 에볼라 치료제를 개발해왔다.

지난 1월 실험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지 24시간 안에 지맵을 투여받은 원숭이 4마리와 48시간 안에 투여받은 4마리가 모두 살아남았다.

담배 바이러스에 에볼라 치료 단백질 생산을 위한 유전자를 삽입한 뒤 담배식물을 감염시켜 생산하는 ‘단일클론항체’인 지맵은 현재 실험단계여서 사람 대상 임상시험 등 정상적인 신약 개발 절차를 거치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번 실험약물 투여는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질병 치료가 한계에 봉착했을 때 임상시험 약물의 사용을 예외적으로 승인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동정적 사용’ 규정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단 두명에게 투여된 것만으로 지맵의 효과를 확신하기 어렵고 대량생산 체계도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지맵이 당장 서아프리카에 확산하는 에볼라 퇴치에 활용되기는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알레르기ㆍ전염병연구소(NIAID) 앤서니 파우치 소장은 이 약이 다른 환자들에게도 효과가 있을지 판단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며 대량생산에 대해서도 맵 바이오제약 생산량 확대에 힘쓰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말했다.

지맵 외에도 여러 에볼라 치료제·백신 개발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으나 모두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전 단계여서 현재의 에볼라 확산 차단에는 활용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파우치 NIAID 소장은 최근 “수년간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을 연구해오다가 최근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며 오는 9월 이에 대한 임상시험을 할 수 있도록 FDA와 승인 절차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NIH는 지난 3월 국내외 15개 제약사·연구소 연구자들에게 에볼라 관련 의약품 개발을 위해 5년 동안 2천8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