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한국전 참전용사 9명 ‘뒤늦은’ 명예훈장

오바마, 한국전 참전용사 9명 ‘뒤늦은’ 명예훈장

입력 2014-03-19 00:00
업데이트 2016-09-12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 9명의 유가족들에게 군인 최고의 무공훈장인 ‘명예훈장’(Medal of Honor)을 수여했다.

명예훈장을 받는 한국전 참전용사는 히스패닉계나 유대계 미국인이 대부분으로, 1950년 11월 강동전투에서 공을 세운 조 R 발도나도 상병, 1952년 8월 철원전투에 참가한 빅터 H 에스피노자 상병, 1950년 9월 대부동 전투에 참여한 에두아르도 C 고메즈 병장 등이다.

2차 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운 15명도 이날 함께 명예훈장을 받았다.

이들 24명은 이미 바로 아래 급인 수훈십자훈장(DSC)을 받은 용사들 가운데 높은 공적이 재평가된 경우로, 생존자는 베트남전 참전용사 3명이다.

미국 의회가 2002년 국방수권법(NDAA)을 통해 유대계나 히스패닉계, 아프리카계 미국인 참전용사 가운데 인종적 편견 때문에 명예훈장 수여가 거부된 사례가 없는지 재검토하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오늘은 역사를 바로 쓰는 날”이라며 “개개인의 기록을 읽어보면 이들의 용감성은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이지만, (인종적 편견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인정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1951년 3월 양평전투에서 공을 세운 레오너드 크라비츠의 조카로 고인을 대신해 이날 훈장을 받은 레니 크라비츠는 “삼촌은 전투에서 모든 소대원을 구출했다. 진즉에 명예훈장을 받았어야 했지만 솔직히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수훈십자훈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51년간 총 3천463명의 군인에게 명예훈장이 수여됐으며 현재 생존자는 75명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