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신문 아시아나기 사고 보도 헤드라인 논란

미국 신문 아시아나기 사고 보도 헤드라인 논란

입력 2013-07-09 00:00
업데이트 2013-07-09 1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FLIGHT’ 아닌 ‘FRIGHT’로 표기 ”공포상황 전달” vs “L·R 발음 구분못하는 아시아계 비꼰 것”

미국 중서부지역의 유력 일간지인 시카고 선타임스가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서울발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를 다룬 기사 제목이 아시아계와 미국 주류 사회 간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8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시카고 선타임스가 전날 일요판 신문 1면과 4~5면을 할애해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를 집중보도하면서 헤드라인으로 ‘프라이트 214’(FRIGHT 214)를 사용한 데 대해 “아시아계에 대한 조롱”이라는 비난과 “충분히 가능한 표현”이라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문제는 ‘플라이트’(Flight)를 대체한 단어 ‘프라이트’가 ‘공포’라는 뜻을 갖기도 하지만 알파벳 ‘L’과 ‘R’을 명확히 구분 못하는 아시아계의 발음을 비꼰 것으로 읽힐 수 있다는 점이다.

때문에 많은 아시아계 독자들이 공분했으며 아시안 아메리칸 저널리스트 연합(AAJA)은 선타임스 측에 공식 이의를 제기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짐 커크 시카고 선타임스 편집국장은 “스태프 누구도 헤드라인이 공격적으로 읽힐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며 “편견을 조장하려는 그 어떤 의도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누구라도 선타임스의 헤드라인에 마음이 상했다면 미안하다”면서 “우리는 여객기 착륙 당시의 공포스런 상황을 전달하고 싶었던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AAJA는 “커크 국장의 해명을 믿어보겠지만 선타임스가 그런 헤드라인을 뽑은 것은 분명 불행한 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에디터는 그 헤드라인이 인종차별적으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을 감지했어야 한다”며 “선타임스 스태프가 인종적 다양성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큰 실수에 무감각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블로거 필 유는 “사고기가 아시아계 소유인데다 조종사가 한국인이었고 2명의 중국인이 목숨을 잃었다”면서 “선타임스는 알파벳 L과 R 가지고 말장난을 하려 하기 보다 이 헤드라인의 민감성을 먼저 생각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부 미국 독자들은 “아시아계가 표현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고 지나친 반응을 보이는 것”이라며 “선타임스 측의 사과에 외려 마음이 상한다”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