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쓰촨성 강진] “싼샤댐이 대지진 유발”… 中서 또 논란

[中 쓰촨성 강진] “싼샤댐이 대지진 유발”… 中서 또 논란

입력 2013-04-23 00:00
업데이트 2013-04-2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장된 물 압력에 지반 변화” 중국판 트위터에 글 잇따라

중국 쓰촨성 야안시 루산(山)현에서 발생한 규모 7.0의 강진과 창장(長江) 중류에 건설된 세계 최대 규모 싼샤(三峽)댐과의 연관성이 제기되고 있다. 후베이(湖北)성 이창(宜昌)시의 싼샤댐과 지진 발생지가 비교적 근접해 있는 탓이다.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徽博)에는 지난 20일 강진 발생 이후 싼샤댐과의 연관성을 거론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앞서 5년 전인 2008년 5월 8만 6000여명의 희생자를 낸 쓰촨대지진 때도 같은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워낙 큰 규모의 지진이어서 원인 등을 놓고 의견이 분분했고, 그 가운데 하나가 ‘싼샤댐 유발론’이다. 싼샤댐에 저장된 물이 강한 압력으로 지반 변화를 일으켜 지진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 의견도 소개됐다. 지표 틈새로 스며든 물이 지각의 단층 활동을 활성화하면서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웨이보 ‘논객’들도 이를 근거로 이번 강진과 싼샤댐을 연결짓고 있다.

그러나 당국은 일축했다. 중국지진센터 쑨스훙(孫士鋐) 선임연구원은 “루산현 지진과 싼샤댐은 무관하다”면서 “댐에 의해서 발생하는 지진은 통상적으로 진원이 3∼5㎞ 깊이에서 일어나지만, 이번 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13㎞인 점을 그 근거로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많은 저수량 때문에 발생하는 지진은 일반적으로 활성단층대에서 나타나지 않고, 지진 규모도 비교적 작다”고 덧붙였다. 최대 저수량이 소양강댐의 13배인 390억t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싼샤댐은 12년간의 공사기간을 거쳐 지난해 최종 완공됐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3-04-23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