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 아바스, 앞으로 어쩌나

‘영웅’ 아바스, 앞으로 어쩌나

입력 2012-12-04 00:00
업데이트 2012-12-0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 승격’ 금의환향… 이 보복 극복 과제

팔레스타인의 유엔 옵서버국 승격을 이끌어낸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이 2일(현지시간) 시민들의 뜨거운 환대 속에 금의환향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아바스 수반은 이날 요르단강 서안에 위치한 임시 수도 라말라에 도착, 축포를 쏘고 국기를 흔들며 환호하는 시민 5000여명 앞에서 “이제 우리는 국가다. 세계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으며 팔레스타인의 자유와 독립을 지지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팔레스타인이 유엔에서 역사적인 성과를 이뤄냈다.”면서 “긴 여정이었고, 압박도 거셌지만 우리는 굳세게 버텨내 마침내 승리했다.”고 감격스러워했다.

아바스는 지난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팔레스타인의 국가 자격을 얻으려다 실패한 데 이어 자신이 속한 파타당과 대립관계인 가자지구의 무장정파 하마스가 최근 이스라엘과의 교전을 통해 세력을 확대하면서 상대적으로 위상이 축소되는 듯했다. 그러나 이번 옵서버국 승격으로 단번에 영향력을 회복하게 됐다.

자신감을 되찾은 아바스는 팔레스타인의 내부 통합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는 파타당과 하마스 간 화해”라면서 “통합에 필요한 과정들을 연구하겠다.”고 다짐했다.

하마스의 고위 간부 살라 바르다윌도 화해를 위한 신속한 만남을 제안하는 것으로 화답했다.

하지만 ‘영웅’ 아바스 앞에는 여전히 험난한 길이 놓여 있다. 이스라엘은 유엔 총회 결정 직후 서안지구에 3000여채의 정착촌 건설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2일에는 팔레스타인을 대신해 징수했던 세금의 송금을 중단하는 등 보복 조치를 이어갔다. 만성적인 재정난에 시달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공무원의 월급 대부분을 이 세금에 의존하고 있어 송금 중단이 장기화할 경우 심각한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이스라엘은 유럽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비난으로 외교적 고립 위기에 처했다. 3일 영국, 프랑스, 스웨덴 정부는 각각 자국 주재 이스라엘 대사를 외무부로 불러 불법 정착촌 건설안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영국 외무부 대변인은 “이스라엘이 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엄중한 조치가 따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밝혔다. 러시아와 독일 정부도 우려를 표시하며 계획 철회를 촉구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2-12-04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