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다리 없이 지낸 삶 어쩌라고…”

“팔·다리 없이 지낸 삶 어쩌라고…”

입력 2012-09-03 00:00
업데이트 2012-09-0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형 유발 약 판매 獨그뤼넨탈, 50년 만에 사과

“내 아들은 팔과 다리 없이 수십년을 고통속에 살아왔는데, 이제와 사과한다고?”

기형아 출산을 유발하는 약품을 만들어 세계적인 재앙을 불러일으킨 독일의 제약사가 50년 만에 ‘뒤늦은’ 사과를 했다. 각국의 피해자들은 “사과를 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며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해온 회사의 뜬금없는 사과에 분노했다.

독일 제약사 그뤼넨탈의 헤랄트 슈토크 최고경영자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독일 서부 슈톨베르크에서 열린 ‘탈리도마이드’ 피해자 추모 행사에서 “회사가 피해자들에게 오랜 기간 침묵한 것은 매우 유감”이라면서 “이번 기회를 통해 피해자와 산모, 가족들에게 깊은 사과를 전한다.”고 말했다.

그뤼넨탈은 1950년대 후반 진정제 및 수면제로 탈리도마이드를 개발했으며 1957년부터는 ‘입덧 완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며 임신부들을 주고객층으로 삼아 대대적으로 판매했다.

대재앙은 그때부터 시작됐다. 이 약을 복용한 임신부들이 팔, 다리가 없는 기형아를 잇따라 출산하기 시작한 것. 임신부들의 복용이 금지된 1961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모두 1만여명의 기형아가 태어났다.

슈토크는 “우리는 희생자들을 위해 5억 유로(약 710억원)를 보상금으로 냈지만, 가족들에게 직접 사과를 전달하지 않은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그의 이 같은 발언이 전해지자 피해자들은 “사과가 아니라 모욕을 받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 달간 이 약을 먹은 뒤 팔다리가 없는 아들을 낳은 호주의 리넷 로는 “우리 가족은 50년간 매일 아침 탈리도마이드 때문에 생긴 비극을 마주하며 지금껏 참고 또 참아왔다.”면서 “너무나도 참기 힘든 고통의 세월”이라고 말했다.

탈리도마이드 피해자 대책 위원장인 프레디 애스트베리는 “사과를 하기 위해 너무 많이 돌아왔다.”면서 “지금도 전 세계에서 수많은 피해자가 힘든 싸움을 하고 있으며, 회사는 당장 그들을 돕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2-09-03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