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자본주의 상징 60년만에 미얀마 빗장 열다

美자본주의 상징 60년만에 미얀마 빗장 열다

입력 2012-06-16 00:00
업데이트 2012-06-1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방 아이콘… 북한·쿠바만 남아

이미지 확대
미국 자본주의의 상징인 코카콜라가 60년 만에 미얀마에 다시 진출한다. 시장 개방의 아이콘이기도 한 코카콜라는 지난 100여년간 은둔 국가들이 문을 열 조짐을 보일 때마다 가장 먼저 달려가 빗장을 풀어 젖혔다. 이제 코카콜라가 유통되지 않는 국가는 쿠바와 북한뿐이다. 코카콜라 측은 14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 정부가 미얀마에 대한 정식 투자 승인을 내주는 대로 미얀마 영업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얀마 정부의 잇따른 정치 개혁 조치로 최근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대(對)미얀마 투자 제재를 해제함에 따라 내려진 결정이다. 코카콜라는 미얀마 현지 조직을 구축할 때까지 우선 주변 국가들에서 생산된 자사 제품을 들여와 판다는 전략이다.


●전세계서 하루 18억병 팔려

코카콜라는 개혁·개방 및 세계화의 바람을 타고 20~21세기에 지구촌 대부분 국가에 진출했다. 1892년 애틀랜타에 처음 회사가 설립된 이후 3년여 만에 미국의 모든 주에서 판매됐고, 1940년까지 세계 45개국에 진출했다. 창업주인 아사 캔들러의 생각처럼 목마른 사람은 애틀랜타 밖에도 있었다. 코카콜라는 냉전 때인 1965년 ‘철의 장막’마저 뚫고 당시 공산권 국가 중 처음으로 불가리아에서 생산됐다. 1979년에는 중·미 수교 이후 3시간 만에 첫 번째 외자기업으로 중국에 진출했다. 세계 전역에서 반미 감정이 불붙을 때마다 불매운동의 표적이 되기도 했지만 현재 200곳이 넘는 국가에서 하루 평균 18억병이 팔리고 있다. 한때 쿠바에서 판매되던 코카콜라는 1959년 피델 카스트로의 쿠바혁명 이후 개인자산이 동결되자 이듬해 사업을 접었다. 북한에서도 코카콜라 수입이 논의되고 있다는 소문이 여러 수차례 퍼졌지만 아직 정식으로 유통되지는 않고 있다.

유대근기자 dynmaic@seoul.co.kr

2012-06-16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