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만능줄기세포로 ‘사람의 간’ 만들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사람의 간’ 만들었다

입력 2012-06-09 00:00
업데이트 2012-06-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연구팀, 움직임까지 첫 재현

일본의 대학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사람의 간을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8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요코하마시립대학의 다니구치 히데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모든 세포로 변화할 수 있는 iPS를 활용해 쥐의 체내에서 사람의 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간의 크기는 5㎜ 정도이지만 사람의 간과 똑같은 움직임이 확인됐다. iPS로 사람의 장기를 만든 것은 처음이다. 연구팀은 오는 14일 요코하마시에서 열리는 일본 재생 의료 학회에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연구는 쇠약해진 신체의 기능을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장기로 보완하는 재생의학과 의약품 개발로 연결될 수 있는 성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람의 iPS로 간 세포를 만드는 기술은 종전에도 있었지만, 복잡한 입체 구조를 가진 장기를 만드는 것이 어려워 간의 움직임을 재현하지 못했다.

요코하마시립대 연구팀은 사람의 iPS를 먼저 간 세포로 변형시키기 직전의 전구세포로 변화시켰다. 여기에 혈관을 만들어내는 혈관내피세포와 다른 세포를 연결하는 능력이 있는 간엽계(間葉係)세포를 함께 수일간 배양했다. 이렇게 해서 사람의 세포만으로 만든 간 세포를 쥐의 머리 부분에 이식했더니 직경 5㎜의 간으로 성장했다. 이 간은 사람 특유의 단백질을 만들어 약물을 분해하는 기능 등 간의 종합적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간 내부에 생긴 혈관도 정상적이었다.

하지만 이번 성과를 임상에 적용하는 데는 여러 과제가 있다. 우선 간을 더 크게 만드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또 임상에 적용할 경우에는 충분한 안전성이 입증돼야 한다. 실용화를 위해 비용을 대폭 줄이는 것도 해결해야 할 난제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6-09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