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행동가형? 내조형?… 美 대통령 부인 두 역할 다 해야”

“행동가형? 내조형?… 美 대통령 부인 두 역할 다 해야”

입력 2012-01-12 00:00
업데이트 2012-01-12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여형’ 엘리노어 역대 평가 1위…국정 전면개입 땐 비난표적 ‘모순’

‘힘센 관료인가. 전통적 내조자인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부인 미셸 오바마가 국정운영에 관여하는 과정에서 람 이매뉴얼 전 백악관 비서실장 참모진과 대립했다는 내용이 담긴 책 ‘오바마 가족’(The Obamas)이 출간되자 퍼스트 레이디의 역할을 둘러싼 해묵은 논쟁이 재점화됐다. 대통령 부인의 임무는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까닭에 미국사에서는 ‘인(人)의 장막’ 뒤에서 은둔했던 인물부터 정책을 직접 만들고 대선 레이스에 도전했던 인물까지 다양한 유형의 퍼스트 레이디를 찾아볼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전문가들은 대통령의 아내가 강하면서 동시에 부드럽기를 바라는 대중의 이중적 요구 탓에 대통령 부인의 역할을 정립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분석한다.

●“강하고 부드러워야” 이중적 대중

역사가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퍼스트 레이디는 백악관에 머물 때 정치와 국정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인물이 대부분이다. 미국 시에나대 조사연구소가 2008년 전국 100여개 대학의 사학과 대표를 상대로 ‘역대 대통령 부인 순위’를 조사한 결과 엘리노어 루스벨트가 39명의 대통령 부인(미셸 오바마 제외)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애비게일 스미스 애덤스, 재클린 케네디, 힐러리 클린턴, 레이디 버드 존슨 등이 5위권에 포진됐다.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부인이었던 재클린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문적으로 정치·국정운영에 참여했던 ‘근육질의 퍼스트 레이디’였다.

●재클린·힐러리 등 상위권 포진

엘리노어와 힐러리는 타고난 행동주의자로 남편의 퇴임 뒤에도 사회 변화를 위해 주체적으로 활동한 ‘철의 여인’이다. 엘리노어는 1933년 백악관 입성 이후 소아마비로 몸이 불편했던 남편을 대신해 ‘입’과 ‘다리’가 됐다. 여성고용 등 정책 수립에도 관여했고 ‘나의 하루’(My Day)라는 칼럼을 통해 국민적 인기를 얻기도 했다. 남편이 사망한 뒤에는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와 국제연합 인권위원회 회장 등을 맡으며 주체적인 모습을 보였다. 힐러리 역시 남편 클린턴으로부터 국민건강보험을 개혁하라는 임무를 받아 주도적으로 추진했으며 상원의원과 국무장관을 맡는 등 수동적 대통령 부인상을 거부했다.

●엘리노어, 유엔 대사직 맡기도

하지만 적극적으로 국정 전면에 나섰던 퍼스트 레이디들은 남편의 임기 당시 비난의 표적이 되는 일이 잦았다. 힐러리는 건보개혁 과정에서 미국 의사협회에 고발당하는 등 수시로 역공당했고 애비게일 역시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한 까닭에 반대세력으로부터 ‘미세스 프레지던트’(Mrs. president·부인이면서 마치 대통령인 양 지나치게 국정에 간섭한다는 뜻)라는 비아냥을 들었다. 대통령 부인학을 강의하는 마이라 구틴은 “힐러리가 백악관에 있을 때 비판의 대상이 됐던 것은 공공정책 영역에서 지나치게 적극적이어서 대중이 바라던 선을 넘어섰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인들은 퍼스트 레이디가 전통적인 내조자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는 얘기다. 구틴은 “환경문제 해결에 나섰던 레이디 버드 존슨과 정신건강분야에 관심이 있던 로절린 카터 등 여성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 몰입한 대통령 부인이 (재임 중) 좋은 평가를 받는다.”고 덧붙였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2-01-1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