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금강송/이동구 논설위원

[씨줄날줄] 금강송/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2-03-07 20:30
업데이트 2022-03-08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족에겐 못할 말이 있어도/소나무 친구에겐/못할 말이 없다. 옛사람들이 살던 집은/소나무와 흙으로만 지었는데/그 두 가지가/사는 이의 성품을 닮았기 때문이다’ 황금찬 시인은 “소나무가 아버지의 성품을 닮았다”고 했다. 퇴계 이황은 “돌 위에 자란 천년 묵은 불로송/검푸른 비늘같이 쭈글쭈글한 껍질/마치 날아 뛰는 용의 기세로다”라며 변치 않는 절개와 강인함이 선비의 삶에 녹아 있는 듯 소나무를 좋아했다.

소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국토 전역에 분포해 있고, 우리 민족이 가장 사랑하는 나무다. 애국가에도 나올 뿐만 아니라 아기가 태어나면 대문에 걸었던 금줄에도 소나무 가지가 사용됐다. 시인 묵객들은 매화, 대나무와 함께 ‘세한삼우’라 부르며 소나무를 사랑한다. 줄기가 붉어서 적송(赤松)이라 부르기도 하고, 육송ㆍ해송ㆍ여송(女松) 등 자라는 장소나 모양새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금강산을 비롯해 태백산맥 일대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금강송’(金剛松)이라 부른다. 유난히 붉은 빛을 머금은 채 곧고 높이 자라는 게 특징이다. 늘씬하게 키가 크다고 해서 미인송(美人松)으로 불리기도 했다. 울진, 봉화 등지에서 자란 금강송이 춘양역을 통해 운반됐다고 해서 춘양목(春陽木), 궁궐에서 사용됐다고 황장목(黃腸木)이라고도 불린다.

경북 울진군에는 3700여㏊ 규모의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 내에 1500여㏊ 규모의 금강송 군락지가 있다. 수령 100~200년가량의 금강송 8만여 그루를 비롯해 1000만여 그루의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이곳 금강송은 2001년 경복궁 태원전 복원 사업과 2008년 숭례문 화재 복원에도 사용됐다. 2015년부터 지역의 행정 명칭도 ‘금강송면’으로 바뀌었다. 군락지 입구에는 조선 숙종 시대 새긴 입산금지 표지석이 남아 있어 이곳이 얼마나 중요하게 관리돼 왔는지 짐작하게 한다.

울진과 삼척 등에서 발생한 산불이 나흘째 이어지며 금강송 군락지를 위협하고 있다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현지 주민들의 고통도 나눠야 할 뿐 아니라 수백년 우리 민족과 함께 호흡해 온 금강송을 비롯한 산림의 훼손도 최대한 막아야 한다. 산불이 빨리 진화되길 학수고대한다.

이동구 논설위원
2022-03-08 31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