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2차 ‘착한 소비’/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2차 ‘착한 소비’/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09-10 20:20
업데이트 2020-09-11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같이 벌어서 정승처럼 쓰라”는 말이 덕담처럼 통용된 적이 있다. 1960~70년대 경제성장기에 노력해서 돈을 부지런히 모아 출세하라는 의미로 자주 사용됐던 격언으로 기억한다. 한편으로는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돈을 벌어 큰소리치며 폼나게 살아라”는 뜻으로 오해를 살 수도 있었다. 이른바 ‘황금만능주의’에 편승한 말로 ‘졸부 근성’을 부추기거나 비아냥처럼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공정성과 정의를 중요시하는 시절인지라 “정승처럼 품위 있고 정당하게 사용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때는 나라의 빚을 갚기 위해 온 국민이 자신이 소유하던 금을 자발적으로 내놓았다. 당시 전국에서 약 351만명이 참여해 약 227t의 금이 모였다. 금의 가치는 어림잡아 21억 3000만 달러어치로 구제금융 체제를 조기에 벗어나는 데 큰 힘이 되기도 했다. 거슬러 올라가면 1907년 2월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이나 일제강점기 지방의 많은 부호가 독립운동을 위해 은밀히 재산을 군자금으로 내놓은 일도 있었다. 온 국민이 마치 정승처럼 자신의 돈을 의미 있게 사용한 사례가 아닐 수 없다.

2003년 ‘아름다운 가게’가 네팔, 인도산 수공예품을 판매하면서부터 ‘공정무역’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국가 간의 무역에도 환경, 인권 등이 중요 변수라고 판단한 것이다. 특히 담배나 초콜릿, 커피 등이 아프리카나 남미 등지 어린이들의 노동 착취로 생산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들 제품을 구매하고 소비하는 데도 기업 또는 생산자의 도덕성과 환경, 인권문제 등을 한 번 더 떠올리게 됐다. 착한 소비운동이 국내에 자리잡게 된 것이다.

올봄에 코로나19로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들이 큰 어려움에 처하자 이들을 돕기 위한 운동이 들불처럼 번졌다. 전주시에서 시작해 전 국민을 감동케 했던 ‘착한 임대인 운동’이나, 학교급식 중단으로 농수축산물 소비가 줄어들자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체 등이 거든 농산물 팔아 주기 등이 그것이다. 일반 소비자도 결제해 놓고 나중에 사용하는 ‘선결제 운동’으로 착한 소비운동에 동참하며 힘을 보탰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강화되면서 식당, 제과점, 커피숍의 영업권이 제한되자 주민들이 십시일반 힘을 보태고 있어 감동이다. 인천의 한 아파트 주민들은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이웃이 운영하는 가게의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를 돕고 있다. 상인들에게 힘을 보태는 응원의 글도 올리고 있다. 정승처럼 품위 있게 돈 쓰는 소비자들이다.

yidonggu@seoul.co.kr
2020-09-11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