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역대 왕조 기념 공간/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역대 왕조 기념 공간/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2-14 22:38
업데이트 2016-02-14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 태조 이성계는 자신의 손으로 무너뜨린 고려의 국호와 의장, 법제를 잇는다고 즉위 교서에서 천명한다. 태조는 의례를 중요하게 여기는 유교를 새로운 국가의 이데올로기로 삼은 탓인지 즉위 원년(1392) 벌써 고려 태조 왕건의 제사를 국가 차원에서 지내라고 명한다. 태조 6년(1397)에는 사당을 새로 짓고 태조를 비롯해 혜종, 성종, 현종, 문종, 충경왕, 충렬왕, 공민왕 등 고려왕 8위를 모셨다.

문종은 즉위 원년(1451) 지금의 경기 연천에 있는 사당을 숭의전(崇義殿)이라 이름 짓고, 충청도 산골에서 숨어 살던 고려 왕실의 자손 왕우지(王牛知)를 찾아내 왕순례(王循禮)로 이름을 고치고 제사를 받드는 책임을 부여한다. 문종은 이곳에 복지겸, 신숭겸, 서희, 강감찬, 윤관, 김부식, 정몽주의 위패도 모신다. 단순히 고려를 건국한 왕건 한 사람을 위한 제사 공간이 아니라 한 왕조의 역사를 기념하는 성격을 부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선은 역대 왕조에 제사 지내는 기능을 중시했다. 환인·환웅·단군을 모신 삼성사(三聖祠)가 그렇고, 기자를 배향한 숭인전(崇仁殿)이 그렇다. 이후 역대 왕조의 사당에도 숭(崇) 자 돌림으로 이름을 짓고 왕이 직접 지은 축문과 제물을 보내기도 했다. 제례와 전각을 관리하는 전감(殿監)에는 벼슬을 내리기도 했다.

삼성사가 황해도 구월산에 있다는 기록은 ‘고려사’에도 나온다. 그런데 조선의 개국공신 하륜이 “단군은 동방의 시조이니 기자와 더불어 한 사당에서 제사 지내야 한다”고 주청하자 태종이 그대로 따랐다는 기록이 있다. 삼성사의 단군 위패는 이때 평양의 기자전으로 옮겨졌고, 세종 11년(1429) 단군과 고구려 시조 동명왕을 합사한 사당을 주변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 영조는 숭령전(崇靈殿)이라 사액한다. 기자를 중요하게 여긴 것은 중국 사신이 올 때마다 특별한 관심을 표명했기 때문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조선은 신라 박혁거세, 백제 온조왕, 가락국 수로왕을 각각 배향한 경주, 남한산성, 김해의 사당에도 숭덕전(崇德殿), 숭렬전(崇烈殿), 숭선전(崇善殿)이라는 이름을 내린다. 이 6곳의 숭자 돌림 사당에 경주의 숭혜전(崇惠殿)과 숭신전(崇信殿)을 더해 8전(八殿)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숭혜전은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 숭신전은 탈해왕을 모신다. 신라의 3대성(姓) 경주 박씨, 경주 김씨, 경주 석씨가 별도의 제사 공간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보면 조선의 역사 인식은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역대 왕조를 기념하는 행사에 지금보다 더 많은 의미를 부여했던 것 같다. 오늘날 역대 왕조 기념행사는 해당 왕의 후손인 특정 성씨가 주도하고 있으니 조선시대보다 후퇴했다는 느낌도 있다. 남북 관계가 어려워지니, 특히 고구려나 동명왕을 기념하는 국가적 공간은 하나쯤 있어도 좋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2-15 3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