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잭 도시와 임성기/임창용 논설위원

[씨줄날줄] 잭 도시와 임성기/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1-05 23:10
업데이트 2016-01-06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회사의 주인은 주주일까요, 아니면 사원들일까요?” 세계 최고의 경영대학원(MBA)으로 꼽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경제학 교수인 프랭클린 앨런은 수업을 할 때 꼭 이 질문을 학생들에게 던진다고 한다. 그러면 대개 미국 학생들은 주주가, 아시아에서 온 학생들은 직원들이 회사의 주인이라고 답한다고 한다.

자본주의의 산물인 기업의 법적 소유자는 당연히 주주다. 그렇지만 주식을 사고팔며 차익만 챙겨 가는 주주보다는 평생 회사에 몸담고 회사 발전에 기여한 사원들이 진정한 주인이라는 의식이 아시아 출신 학생들에게 더 많다는 것이다.

자본주의적 관점으로만 보면 직원들은 주주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래서 미국의 최고경영자(CEO)들은 경영적 측면에서 아시아의 기업들에 비해 직원들을 쉽게 해고한다. 주주들에게 이익을 실현해 주지 못하면 자신이 잘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라고 하여 이런 논리가 꼭 맞는 것일까? 최근 디지털 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트위터의 경우를 보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한 것 같다. 지난해 10월 트위터의 종신 CEO로 선임된 잭 도시는 취임 후 전체 직원 중 8%를 해고하는 고강도의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는 페이스북과 달리 트위터 성장이 정체되면서 수익 구조가 악화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놀라운 점은 그의 다음 행보다.

그는 남은 전 직원들에게 자신의 트위터 주식의 약 3분의1을 나눠 준다. 그야말로 ‘통 큰 선행’이었다. 분배한 주식의 가치는 2억 600만 달러에 이른다. 그는 주식 분배를 발표하면서 “작은 것에서 큰 부분을 가져가는 것보다 큰 것에서 작은 부분을 가지는 게 낫다”고 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 직원들에게 투자해 회사의 가치를 키워 대주주이자 CEO인 자신은 나중에 더 큰 이익을 실현하겠다고 공언한 것이다. 잭 도시는 트위터의 창업자이지만 공동창업자와의 다툼 끝에 쫓겨났다가 회사가 어려워지자 돌아왔다. 그가 회사를 구해 낼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38세 최고경영자의 통 큰 실험은 세계적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사정은 좀 다르지만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이 자신이 보유한 한미사이언스 주식 90만주(약 1100억원)를 전 직원들에게 나눠 준다고 한다. 1인당 약 4000만원어치의 주식이 돌아간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잇따른 신약 개발에 이은 8조원 규모의 수출 계약으로 보기 드문 ‘대박’을 쳤다. 한미사이언스 주가는 지난해 1월 1만 5000원대에서 연말 기준 12만 9000원으로 올랐다. 임 회장은 “고난의 시기를 함께 이겨 낸 임직원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 임 회장의 통 큰 결단이 잭 도시의 말처럼 더 큰 이익이 되어 돌아갈 것이라고 믿는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1-0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