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시원한 김치

[길섶에서] 시원한 김치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24-02-22 01:31
수정 2024-02-22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치를 좋아하지만 많이 먹는 편은 아니다. 매끼 김치가 없으면 안 되는 김치파가 아니어서 대개 마트에서 파는 제품을 소량 사 먹는다. 대략 남도식 진한 양념의 김치를 사면 실패할 확률이 낮다. 지난 김장철, 한두 달에 한 번씩 만나는 친구들이 집에서 김장을 한다길래 염치 불고하고 조금씩 달라고 하니 선뜻 가져다 준다. 그렇게 세 집에서 김치를 받아 두 집 것은 먹고, 담근 지 얼마 안 된 것을 냉장고에 넣어 뒀다가 최근 꺼내 먹기 시작했다.

적당히 익은 맛이 시원하다. ‘시원한 김치.’ 물김치도 아닌 시원한 맛은 고등학교 친구 집에 놀러 가 개성이 고향인 어머니가 담근 김치에서 처음 맛봤다. 어릴 적부터 멸치젓 김치에 익숙했던 입맛에 ‘개성 김치’는 신세계였다. 김장 김치를 준 친구에게 비결이 뭐냐고 했더니 개성이 고향인 어머니가 살아생전에 아내에게 전수해 준 맛이란다. 친구 아내 김치의 의문이 풀린다. 40여년 전 한 번 알게 된 시원한 김치를 다시 만난 기쁨이 여간 크지 않다.

황성기 논설위원
2024-02-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