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달맞이꽃/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달맞이꽃/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05-05 17:28
업데이트 2020-05-06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붉은 꽃들은 강렬한 태양 아래에서 더 현란하다. 검붉은 장미나 선홍빛 양귀비가 그런데 무심하게 쳐다보다 짐짓 아찔함을 느낀 적이 있다. 붉은 튤립 꽃밭에서도 레드(red)의 찬란함은 찾아오는 사람들을 도취시키고 있었다.

꽃들은 저마다 태양의 계절을 반기고 있지만, 빛을 싫어하는 꽃이 있음을 알게 된 것은 남들보다 뒤늦은 최근의 일인데 그것도 유행가를 통해서였다.

누구나 아는 달맞이꽃이다. 여름밤에 피어 아침이 되면 시드는, 일반적인 꽃과는 정반대의 품성을 갖고 있다.

달맞이꽃의 이런 성질은 햇볕이 내리쬐는 환경에서는 꽃이 필 수 없는 유전적 특성을 지녔기 때문이라고 한다.

수정도 벌이나 나비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나방이나 박각시 같은 밤에 활동하는 곤충이 한단다. 약용식물로서도 유익한 꽃이다. 지금까지 잘 볼 수 없었던 것은 달밤에 피었기 때문일 것이다.

‘서산에 달님도 기울어 새하얀 달빛 아래 고개 숙인 네 모습 애처롭구나’

가사의 한 구절처럼 빛을 피해 밤에 피는 달맞이꽃에서는 쓸쓸함이 배어 나온다. 그러나 유채꽃과도 닮은 노란 꽃의 자태는 아름답기만 하다. 과시하지 않고 그늘진 곳에서 조용히,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을 떠올려 주는 꽃이다.

sonsj@seoul.co.kr
2020-05-06 3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