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요절(夭折)/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요절(夭折)/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3-03 17:16
업데이트 2020-03-04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삶에는 의미와 무의미가 무성히 뒤엉켜 있다. 딱히 의지가 개입하지 않은 부모 자식 등 가족과의 관계는 참으로 자연스럽고 따뜻하게 만들어진다. 반면 시험, 출세 등 강한 의지를 갖고 덤벼드는 일들은 쉬 성취되지 않기 일쑤다. 의미를 부여했으나 무의미한 결과를 낳거나,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가 부재(不在) 뒤 강렬히 각인되는 경우도 많다.

미망과 무지, 탐욕으로 둘러싸였던 중세 암흑기를 극복하려는 시도였지만, 근대는 이성과 합리의 가치에 너무 경도됐다. 의미를 부여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인간의 자만심은 거기에서 비롯된 측면이 있다. 흔히 ‘이단’이라 부르는 종교들이 21세기 들어 유독 더 많이 창궐하는 배경이다. 합리적 이성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삶의 문제들이 즐비하다. 거대한 우주 속 ‘창백한 푸른 점’ 지구 위에 사는 하찮은 존재들로선 더욱 강력한 누군가에게 의존하지 않으면 삶의 비의(秘義)에 닿기 어려운 탓일지 모른다.

가장 행복해야 할 시기에 갑자기 떠나버린 후배 뒤에 남겨진 숱한 존재들은 한동안 허무함과 무기력함을 견디며 지내야 한다. 또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일상 속 많은 것에 나름의 의미를 담아 삶을 영위할 것이다. 문득 또다시 무의미해지더라도 말이다.

youngtan@seoul.co.kr
2020-03-04 3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