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수목원의 진화/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수목원의 진화/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9-10-13 22:12
업데이트 2019-10-14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수목원은 대개 거주지에서 제법 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광릉수목원이나 가평의 아침고요수목원, 곤지암의 화담숲 등이 그런 예다. 반면 서양에서는 도시 중심에 있거나 인근에 가든 형태로 지어져 보통 보태니컬 가든(Botanical Garden)이라는 표현을 쓴다. 백과사전에도 수목원과 보태니컬 가든의 경계가 조금 애매하다. 영어로 아버리텀(Arboretum)이라고 표기하는 수목원은 나무나 관목, 덩굴의 집합체를 말한다. 나무에 방점이 찍혀 있다고 보면 된다. 반면 보태니컬 가든은 나무뿐만 아니라 허브 등 여러 식물을 포함한다. 이런 이유로 보태니컬 가든은 보통 식물원으로 표기한다.

지난 주말 경북 봉화군 춘양면에 있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다녀왔다. 어제까지 ‘봉자 페스티벌’이 열렸기 때문이다. 봉자 페스티벌은 봉화 지역에서 열리는 자생식물을 활용한 축제라는 뜻이다. 가을축제 이름을 순자, 미자를 연상케 하는 봉자로 재치 있게 지어 웃음이 절로 나왔다. 국화는 물론 수련, 구절초, 억새, 나비바늘꽃 등 야생화들이 도시민들을 반겼다. 지난해 5월 아시아에서 제일 큰 규모로 개관한 백두대간수목원은 야생화 정원을 멋들어지게 꾸며 세계 유수의 보태니컬 가든의 가능성도 보였다.

jrlee@seoul.co.kr

2019-10-1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