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길섶에서] 카톡 의존증/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카톡 의존증/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김균미 기자
입력 2018-01-22 23:16
업데이트 2018-01-22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톡 카톡’ ‘드르륵’ ‘드르륵’. 여기저기서 카카오톡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알림 소리가 들린다. 진동으로 바꿔 놓았더니 문자가 올 때마다 책상 위, 서류 위에 놓아 둔 휴대전화가 ‘드르륵’ 하고 떨린다. 진동소리도 거슬려 아예 무음으로 해 놨더니 조용하기는 한데 메시지를 그때그때 확인하지 않아 괜한 오해를 산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메시지를 상대가 열어 봤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편리하기는 한데 ‘족쇄’가 될 때도 잦다. 문자를 확인하지 않으면 무슨 일이 있는 건지, 불만이 있어 일부러 확인하지 않는 건지 별별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확인만 하고 답을 보내지 않아도 마찬가지다. 휴대전화도 똑같다. 연로하신 부모님이나 아이들이 휴대전화를 받지 않거나 꺼 놓으면 통화가 될 때까지 걱정이 걱정을 낳는다. 어렵사리 통화가 돼 ‘왜 이렇게 전화를 많이 했어’라는 심드렁한 소리라도 들으면 안도보다 화부터 난다. 과민도 병이라며, 드라마를 너무 많이 봐서 그렇다며 기다려 보라는 말에는 세상이 어디 그러냐고 쏘아붙이는 게 고작이다. 과잉 접속 시대에 단속에 대한 두려움, 불편이 생각보다 크다.

kmkim@seoul.co.kr
2018-01-23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