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어떤 후배/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어떤 후배/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5-18 22:32
업데이트 2016-05-18 2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동안 잊고 있던 오래전의 불편한 느낌을 떠올린 건 한 대학 후배 때문이었다. 28년 만에 동문 모임에서 본 그는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온 듯 생생하게 기억을 복원시켰다.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한가운데 섰던 후배다. 항쟁의 도화선이 된 연세대생 이한열이 최루탄을 맞아 쓰러지는 순간 뒤에서 부축했던 친구다. 그 자신도 며칠 뒤 최루탄에 맞아 의식불명에 빠졌다가 뇌 수술을 받고 가까스로 깨어났다. 이한열의 피격 순간을 담은 대형 걸개그림은 이후 6월 항쟁의 상징이 됐다.

80년대 민주항쟁에서 난 참여하는 듯 마는 듯 경계에 있었다. 당위와 현실에 두 발을 어정쩡하게 걸친 채였다. 그래선지 묵직하게 체한 듯 불편했다. 그런 느낌은 잊고 있다가도 빚쟁이처럼 불쑥불쑥 찾아왔다. 영화 ‘동주’를 보았을 때, 한강의 맨부커상 수상 소식을 듣고도 그랬다. 한강은 “깊이 잠든 한국에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우리 현실을 꼬집는 반어적 의미로 읽힌다. 그는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소년이 온다’에서도 ‘광주가 수없이 되태어나 살해되었다’며 광주가 현재진행형임을 깨우쳐 줬다. ‘깊이 잠든 한국’은 현실의 야만을 말하는 것일까.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5-19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