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투기/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투기/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10-04 00:00
업데이트 2014-10-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개발이 성해 투자 붐이 일 때 ‘준(準)복부인’이 있었다. 복부인이야 투기로 돈깨나 만진 아줌마이지만 이들은 숨은 존재였다. 동네 골목길의 물건을 찾아 훑는 아줌마 투기동아리쯤 된다. 돈 흐름을 잘 아는 은행원 출신이 많았다. 이들은 아침 밥상을 물린 뒤 짬을 내 눈여겨보았던 곳을 찾아 나선다. 전문 투기꾼은 아니지만 골목 정보를 금방 알아내 소문이 퍼지기 전에 낚아챈다. 수시로 사업 진행 상황도 확인해 성공 확률이 높은 편이다. 아파트 한채 값을 번 경우도 있었다고 들었다. 집안일을 하면서 발품을 판 생활밀착형 투기인 셈이다.

의외이지만 투기(投機)란 단어는 본래 무소유의 깨우침을 강조하는 불교 용어다. ‘마음을 열고 몸을 던져 부처님의 깨달음을 얻는다’는 뜻인데 지금은 ‘돈을 던져 기회를 잡는다’로 바뀌어 쓰이고 있다. 집 근처에 대규모 마곡지구 개발이 한창이다. 출퇴근 때 원룸 투자를 권하는 전단을 자주 받는다. 투자를 할까 말까, 남을까 손해 볼까. 마음은 머뭇거린다. 부처님은 뭐라 할까. 물욕에 물들지 마라고 머리를 두어대 쥐어 박을까. 사는 게 지나는 찰나(刹那)이긴 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0-04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