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소나타 혹은 쏘나타/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소나타 혹은 쏘나타/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4-03-15 00:00
업데이트 2014-03-15 02: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자동차의 쏘나타가 처음 나온 것은 1985년이었다. 1500cc 후륜구동 스텔라의 내·외관을 고급화하고 엔진을 2000cc로 키웠다. 당시 한글 표기는 ‘소나타’였다. 중형차 시장을 휩쓸고 있던 대우자동차의 ‘로얄’을 겨냥했지만 경쟁은 녹록지 않았다. 상대는 소나타를 ‘소나 타는 차’라고 혹평하는 전략까지 구사했다. 개인적으로 현대차를 맡은 광고회사에서 일하던 1987년 이 차의 부분변경 모델 론칭 광고에 참여했던 인연이 있다. 결국 현대차는 전륜구동의 신형 중형차를 개발한 1988년 표기를 ‘쏘나타’로 바꾸었다. 2세대 쏘나타라지만 사실상 새로운 가문이 열린 것이다.

7세대 쏘나타가 출시 전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소식이다. 디자인과 성능이 더욱 개선됐을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높다. 현대차도 새로운 쏘나타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쏘나타는 이렇게 한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모델로 성장했다. 그런 만큼 이제는 궁색한 ‘쏘나타’ 대신 표기법에 맞는 ‘소나타’로 돌아가면 어떨까. 현대차의 자신감을 상징하는 세리머니가 될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3-1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