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혼수/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혼수/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6-07 00:00
업데이트 2012-06-0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즘 혼수 얘기가 많이 오간다. 남의 눈을 의식하는 우리 사회의 병폐에 대해 한마디씩 하지만 막상 자기 문제가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주변을 둘러보니 자녀들을 결혼시키면서 돈이 모자라 대출까지 받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되돌아보니 결혼을 준비하면서 몇 가지 원칙을 정한 것이 도움이 됐다. 첫째, 주말에 쉬는 직장인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평일에 결혼식을 올렸다. 둘째, 결혼 패물과 야외촬영 등 불필요한 비용을 아꼈다. 셋째, 하객들에게 밥 한끼는 제대로 대접하기로 했다. 그래서 흔히들 하는 반지나 목걸이 세트 등을 하지 않았다. 다들 장롱 속에 고이 모셔 두고 도둑 걱정하는 것을 보면서 결심했던 부분이다.

하지만 나중에 시어머니께서 다소 섭섭해하셨다고 들었다. 며느리 앞세우고 예물을 골라주고 싶으셨다는 것이다. 어머님 마음까지 헤아리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후회는 없다. 결혼 패물을 하지 않아 경제적 부담도 덜 수 있었지만 평생 남편에게 큰소리 칠 수 있어 좋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6-07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