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어머니의 손/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어머니의 손/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2-03-08 00:00
업데이트 2012-03-08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아동문학가 마이런 알버그가 쓴 ‘아버지의 손’을 읽다 보면 눈가가 촉촉해진다. 청각장애인을 부모님으로 둔 작가의 유년시절 얘기다. 6살부터 부모님의 귀와 입이 돼야 했던 어린 아이. 아버지는 해변에 가서도 “파도의 소리는 어떠냐?”고 묻는다. 침묵의 세계에 사는 아버지는 아들을 통해 세상의 소리를 끊임없이 듣고자 했다. 그런 아버지는 두 손으로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 없는 수많은 이야기를 풀어 냈고, 사랑을 엮어 냈다.

한 다큐영화제에서 대상을 받은 ‘달팽이의 별’ 주인공들의 삶도 그렇다. 눈과 귀가 다 먼 남편과 척추 장애인 아내는 손등의 손가락 위에 점자를 치는 방식으로 대화를 한다. 부부 싸움을 하면 아내는 남편의 손가락 위에 아프게 점자를 콕콕 쳐낸다고 한다. 그래도 온기가 전해지는 손 덕분에 금방 풀린다고 한다.

풍부한 언어를 표현하는 손. 어머니의 두툼하고 거친 손이 떠오른다. 자식들을 건사하느라 늘 쉴 새 없이 놀려야 했던 어머니의 손은 사랑과 헌신 그 자체였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2-03-0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