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노인과 개와 강아지/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의 언파만파] 노인과 개와 강아지/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기자
입력 2021-11-07 20:10
업데이트 2021-11-08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친근한 동물 ‘개’는 이전 시대 ‘가히’였다. ‘ㅎ’이 약화돼 ‘개’가 됐고, [가이]로 불리기도 했다. 늘 옆에 있고 친근했지만 그에 비해 허접한 대접을 받았었다. 개는 하찮고 막돼먹고 더럽고 버릇없는 것의 대명사였다. 가장 흔한 욕에 사용하는 낱말이었다.

‘차반’은 ‘음식’, ‘반찬’을 가리키던 말이었다. 현재는 평범한 음식이나 반찬이 아니라 ‘맛있게 잘 차린 음식’을 뜻한다. 그런데 여기에 ‘개’가 붙으면 보잘것없는 것이 된다. ‘개차반’은 ‘개의 음식’, ‘개가 먹는 음식’을 뜻했지만, 그것은 곧 ‘똥’을 가리키는 말이 됐고, 말과 행동이 더럽고 막된 사람이라는 낱말로 확장됐다. “성질이 개차반이다.” “그는 술만 마시면 개차반이 된다.”

‘새끼’에 ‘개’가 붙으면 말은 더욱 거칠고 아픈 말, 곧 욕이 된다. ‘개차반’이라 해도 참기 어렵겠지만 직설적인 이 욕에는 감정이 더 빨리 일어나기 쉽다.

아침 산책을 나온 두 사람이 요란하게 붙었다. 한쪽에서 자신을 따라붙는 ‘강아지’를 발로 툭 찬 모양이었다. 강아지와 ‘같이’ 나온 사람은 ‘몰상식적인’ 상대를 그냥 두고 볼 수 없었다. 바로 “이런 개××”가 공원을 크게 울렸다. 근처에 있던 모두의 눈과 귀가 이들을 향했다. 이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개’를 찬 사람도 황당한 욕에 가만히 있지 않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강아지와 같이 나온 사람은 더 큰 목소리로 “개××가~”라고 받아쳤다. 그러면서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했다.

강아지는 조용했지만 강아지와 같이 나온 사람의 목소리는 더 커져 갔다. 이 기세에 눌려서였는지, 개를 찬 것에 대한 미안함이 느껴져서였는지 ‘개’를 찬 사람이 더럽다며 물러섰다. 그래도 강아지와 같이 나온 사람은 끝까지 ‘개’가 들어간 욕을 포기하지 않았다. 서로 힘이 떨어져 갈라질 때까지도 ‘개’를 놓지 않았다.

누군가 혀를 찼다. “노인네들이….” 얼굴을 마주한 상태였다면 ‘어르신’이었을 그들이 ‘개’와 ‘강아지’로 인해 낮춤의 의미가 들어간 ‘노인네’가 됐다.

한 노인은 가족 같은 ‘강아지’를 ‘개’처럼 마구 대한 것에 대해 분통이 터졌다. 한 노인은 ‘개’가 자기에게 붙는 것이 못마땅했다. 그래서 한마디로 개 취급을 했다. 반려견 600만 시대 ‘개’가 ‘강아지’로 격상된 사실이 몸에 배지 않은 듯했다. 강아지와 같이 나온 노인에겐 ‘개’와 ‘강아지’가 달랐다. ‘개’는 나쁜 것, 더러운 것, 교양머리 없는 것이었지만, ‘강아지’는 가족이었을 테다.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wlee@seoul.co.kr
2021-11-08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