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서울 중심의 표현

[이경우의 언파만파] 서울 중심의 표현

이경우 기자
입력 2020-10-25 20:34
업데이트 2020-10-26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국어사전에는 ‘상경’이란 낱말이 표제어로 올라 있다. ‘하경’이란 반대쪽 낱말도 실려 있다. 둘 다 서울을 중심에 두고 생겨난 말이다. ‘상경’은 말 그대로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감’, ‘하경’은 ‘서울에서 지방으로 내려감’이라는 말이다. 이런 낱말이 만들어진 이유는 옛 시절 서울이 임금이 머무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높고 낮음이 아니라 임금이라는 높은 분이 있는 곳이어서 ‘상경’은 더욱 굳어진 말이 됐다. 임금이 사라진 지 오래지만 아직 옛 시기 의식인 ‘올라가는 서울’은 무의식처럼 남아 있다. 말 속에 뿌리 깊이 박혀 있고, 도처에서 습관처럼 표현된다.

서울에서 열리는 집회와 시위들에는 ‘상경’이라는 표현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언론매체들에는 단골처럼 ‘상경 시위’가 벌어지고, ‘상경 집회’를 하고, ‘상경 투쟁’을 하는 풍경들이 뭉뚱그려 그려진다. 서울을 더 중심에 두게 하고, 높이는 표현들이다. 다른 지역에서 열리는 집회나 시위였다면 ‘부산 집회’, ‘광주 집회’, ‘대전 시위’처럼 지역명만을 썼을 것이다. 이들 지역에서 열리는 집회에서는 ‘서울’과 달리 그 지역을 강조하거나 하지 않는다. ‘상경’만을 주로 유통시키다 보니 ‘서울 집회’란 표현은 익숙하지 않고 ‘상경 집회’ 같은 것만 낯익은 표현이 됐다.

‘상경 집회’를 끝낸 이들이 각자의 지역으로 가는 표현에서는 부산으로, 광주로, 대전으로 ‘내려간다’고 한다. ‘하경’이란 낱말은 국어사전에만 실려 있고 쓰이지 않지만, 지역으로 간다는 뜻의 말들에서 ‘내려가다’는 당연하다는 듯 나온다. 단순히 ‘가는’ 게 아니라 ‘내려간다’고 한다. 이런 말에 전하는 쪽은 거리낌이 없고, 받아들이는 쪽은 크게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 그냥 ‘오고 가는’ 것인데도 ‘올라가고 내려가는’ 게 오랜 관습이 돼 덤덤하게 다가간다.

매체들이 특정한 지역을 설명할 때도 서울을 중심에 놓는 일은 흔하다. 서울에서 자동차로 몇 시간 걸린다느니, 기차 타면 몇 시간이란 표현을 쉽게 한다. 서울에 살거나 서울과 밀접하게 관계있는 이들만을 염두에 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데 이러면 서울 외의 지역에 사는 이들은 소외시키는 일이 된다. 또 서울에 있는 동 이름을 알릴 때는 그곳이 서울이라는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가 적지 않다. ‘삼청동에서 간담회를 열었다’고 하는 식이다. 이것도 서울에 사는 사람들만 대상으로 했을 때 보일 수 있는 표현이다.

서울만 생각하는 말은 지역 차별로 연결된다. 다른 지역과의 관계에 불균형을 가져온다.

wlee@seoul.co.kr
2020-10-26 27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