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싸] 노들섬을 위해 작곡되는 교향곡/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

[서울인싸] 노들섬을 위해 작곡되는 교향곡/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

입력 2023-04-28 02:36
업데이트 2023-04-28 0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
자신이 보살피던 장미 가시의 괴로움을 견디지 못하고 자기 별을 떠난 ‘어린왕자’는 일곱 번째로 도착한 별에 아름다운 장미가 너무 많다는 데 큰 충격을 받고 또 슬퍼했다. 그러나 어린왕자는 이내 ‘가치 있음’은 ‘희소성 때문’이 아니라 ‘서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고 자기 별로 돌아가기로 결심한다.

마치 어린왕자와 같이 오세훈 서울시장이 노들섬으로 다시 돌아왔다. 팬데믹으로 가라앉아 있던 우리의 일상이 예전의 활기를 되찾아 가고 있으나 한강 한가운데 있는 노들섬은 아직도 깊은 겨울잠에서 깨어나지 못한 것 같은 고요한 모습이다. 왜 그럴까. 다가가기가 힘들다? 즐길거리가 없다? 그래도 조용한 분위기와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사람들도 있다.

노들섬을 바라보는 많은 사람의 마음 한편에 어딘지 모를 아쉬움이 남아 있는 이유가 있다. 섬과 육지, 섬과 시설, 시설과 콘텐츠, 프로그램과 시민이 서로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 시장으로서는 또 한 번의 큰 모험이다. 장미 가시와 같은 노들섬으로 다시 돌아와 시민의 요구를 듣는다는 것은 큰 결심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지난 1년간 노들섬에 무엇이 부족하고 어떻게 바꿀 것인지를 두고 도시, 건축, 정원, 전시·공연 예술 모든 분야의 많은 전문가와 논의하는 시간을 가지며 고민했고 수많은 조언과 격려의 말을 귀담아들었다.

자타가 공인한 세계 최고의 건축가 7인을 초청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 결과 아름답고 깊이 있는 다양한 제안을 받게 돼 큰 감동이었다.

참여한 건축가들의 이 심연(深淵)과 같은 아이디어를 시민과 공유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 자랑스럽다. 어떤 화가(마티스)는 노란 한 점을 ‘태양’으로 그리고 어떤 화가(피카소)는 노란 태양을 ‘한 점’으로 그린다고 피카소가 말했다. 아이디어가 서로 다르다는 것에서 더 무한한 가능성을 찾았다.

현대인은 시간이 절대군주로 군림하는 현대 도시 공간에서 발작적인 걸음걸이로 어디로 가는지도 모른 채 걷는다고 시인 보들레르가 지적했다.

우리의 목표는 노들섬을 찾는 시민을 ‘자신을 완전히 비우고 거시적 공백을 창조할 줄 아는, 정해진 방향이나 목표 없이 천천히 서두르지 않고, 지향점 없이 한가롭게 여유를 부리며 게으르게 걸을 수 있는, 루이 후아르트가 꿈꾸던 진정한 산책자’로 만들어 주는 데 있다.

아무리 높이 나는 새라도 둥지를 하늘에 지을 수는 없다. 또 바람이 나무를 흔들어 주지 않으면 나무는 깊게 뿌리를 내리지 못한다. 그래서 이 섬에 방문하기를 원하는 시민과 학생들의 소리를 더 경청하기 위해 오는 5월 서울시청과 노들섬 등지에서 건축가 7인의 작품 전시회를 열 계획이며 이에 더해 ‘시민공모전’도 개최한다. 이 모든 가능성을 토대로 미래에 노들섬에서 시민 모두가 자연, 문화, 예술을 경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2023-04-28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