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커다란 원을 그려 보자/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커다란 원을 그려 보자/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입력 2022-07-25 20:42
업데이트 2022-07-26 0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괜찮았나요?”

뭐라고 대답할까. 매일 맞닥뜨리고 있는 고민이다.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해야 할 최소한의 것을 겨우 해내고 있으면 괜찮은 것인지, 활기차게 사람들을 이끌어 가면서 새로운 일을 해내야 할지. 여기에 더해서 힘든 고난이 닥쳤을 때 흔들리지 않고 맞서서 헤치고 나갈 수 있어 줘야 괜찮다고 할 만할지 말이다.

따지고 보면 나쁘지 않은 상태지만 사람마다 세워 놓은 기준이 다르니 괜찮다고 말할 만한 만족도 다를 수밖에 없다. 혈압처럼 120/80으로 딱 정해진 기준이 있으면 좋으련만 정신건강의 정상은 참 어렵다. 그래서 우울증에서 회복되는 과정이나 잘 지내다 스트레스로 생활이 힘들다는 사람을 진단할 때도 증상의 유무보다 더 관심을 갖는 것은 그 사람이 생각하는 괜찮음이다. 어떤 사람은 아주 높은 활력을 원해서 아쉬워하고, 어떤 사람은 조금만 흔들려도 무서워하며 에너지가 바닥날까봐 두려워한다.

이럴 때는 하루나 일주일을 돌이켜 보며 커다란 시계 모양의 원을 그려 보면 도움이 된다. 하루의 기준점은 9시쯤에서 시작한다. 하루 중 제일 컨디션이 좋을 때를 12시로 찍고 제일 지치고 기운이 없을 때를 6시로 놓는 한 바퀴의 원을 상상해 보는 것이다. 컨디션의 평균점은 12시가 아니라 9시나 3시쯤이 돼야 한다. 활기찬 일상을 보내기를 바라는 사람은 12시가 이어지기를 바라지만 실은 하루 중 아주 짧은 시기일 뿐이다. 바닥을 치는 것이 두렵고 무섭지만, 이 역시 아주 오래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걸 보게 된다. 실은 많은 시간을 고만고만한 중간값에서 보내고 있다. 일주일로 사이클을 늘려 봐도 같은 맥락으로 파악이 된다.

의사 입장에서는 12시의 활력 피크를 높이는 것보다 6시의 바닥이 땅에 닿을 정도로 떨어지거나 지표를 뚫고 내려가 꽂히는지를 더 중요하게 본다. 바이오리듬을 보아도 대체로 오전에는 좋다가 오후 2~3시쯤에 떨어지고, 5~6시에 다시 상승하는 곡선을 그린다. 그래서 더욱더 내 컨디션의 바닥을 주목해야 한다. 이때 바닥에 닿을까 아슬아슬하지 않고 최소 2미터 정도 마진을 갖고 하루의 동그라미를 그리고 있다면, 그리고 그게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편차는 있지만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유지가 된다면 나는 “이제 정상 범위에 들어왔어요”라고 꽤 자신 있게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정상은 건강한 것과는 다르다. 건강검진이란 말도 좀 이상하다. 비정상을 찾아내는 것인데 건강을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말 그대로 건강검진이라면 팔굽혀펴기, 100미터 달리기, 젓가락으로 콩 집기 같은 것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정상에 대한 오해는 여기서부터 시작됐는지도 모른다.

일상 속에서 컨디션이 떨어져도 최소한 바닥을 찍지는 않을 것이라는 안심이 괜찮게 살고 있다는 안전 마진이 된다. 그러니 긴가민가할 땐 이렇게 커다란 원을 그리면서 바닥을 확인해 보자. 내 컨디션이 어디쯤을 지나고 있는지. 이건 월급이 들어오기 전날 생활비 통장의 잔고를 확인해 보는 것과도 같다.
2022-07-26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