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남원의 도자 산책] 푸른 도자기 베개속 아름다운 꿈/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장남원의 도자 산책] 푸른 도자기 베개속 아름다운 꿈/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입력 2023-09-18 23:56
업데이트 2023-09-18 2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청자상감무늬 베개. 길이 16㎝, 폭 11.5㎝, 고려, 신안 해저 인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상감무늬 베개. 길이 16㎝, 폭 11.5㎝, 고려, 신안 해저 인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푸른 도자기 쪼아 만든 베개 물보다 맑아(綠瓷琢枕澄於水), 만져 보니 옥같이 매끄럽고 부드럽네(入手如捫玉肌膩), 그 속으로 들어가지 말라 했는데 뛰어들고 말았으니(跳身愼勿入其裏), 뒤숭숭한 황량몽 같은 꿈이었던들(擾擾黃粱夢中事), 한단 노생에게 부끄러울 것 있으랴(邯鄲靑駒何必恥)”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실린 고려시대 이규보(1168~1241)의 ‘녹자침’(綠瓷枕)이다. ‘녹자’란 고려청자다. 아름답게 조각된 청자 베개를 만져 보다가 잠든 이규보는 꿈까지 꾸었다. 비몽사몽간에 깨어 보니 당나라(618~907) 때 문인 심기제(750~800)의 ‘침중기’(枕中記) 이야기가 떠오른 것이다.

심기제의 ‘베개속 이야기’에서 노생(盧生)은 하북성 한단(邯鄲)의 어느 여관에서 여옹(呂翁)이라는 도인을 만났다. 그에게 자신의 미천하고 궁색한 처지를 털어놓았더니 그는 베개를 주면서 잠을 권했고, 이내 잠들었더니 부귀영화에다 자식도 낳고 노년까지 장수하는 길고 행복한 꿈을 꾸게 된다. 하지만 홀연히 깨어나 보니 잠들기 전 여관 주인이 짓고 있던 좁쌀밥이 아직도 끓고 있었다. 너무나 짧은 순간이었다. 허황한 꿈이란 얼마나 무상한 것인지….
이미지 확대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장남원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그런데 대체 이규보는 어디로 뛰어들었다는 말인가. 흥미롭게도 심기제의 ‘베개속 이야기’는 이미 11세기 말 이후 서적들을 통해 고려에 전해졌다. 그리고 이인로(1152~1220), 이숭인(1347~1392), 이색(1328~1396) 같은 유명한 문인들은 물론 승려들의 글에서도 종종 인용됐다.

그래서일까. 고려청자 중에는 양쪽 마구리에 커다란 구멍을 만든 것들이 전한다. 세밀한 음각이나 상감, 투각(透刻)으로 호화롭게 장식한 베개들이다. 도자기 베개가 더 오랫동안 널리 사용됐던 중국의 그것들보다 훨씬 아름답고 구멍도 커서 몸을 던져 그 안으로 들어가는 상상도 가능했을 듯싶다. 덧없음에 대한 훈계조의 남의 나라 이야기를 베개라는 생활속 미디어로 재구성해 낸 셈이다.

쑥스럽고 헛된 꿈이라도 좋다. 잠깐이라도 흡족하고 행복한 느낌을 받을 수만 있다면 기억은 오래 남아 생기를 북돋워 줄 것이다. 온 힘을 다해 고단한 날들을 살아가는 우리들, 가슴에 청자 베개 하나쯤 품어 보면 어떨지.
2023-09-19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