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혁신당’이 아니라 ‘이준석당’ 아닌가

[사설] ‘개혁신당’이 아니라 ‘이준석당’ 아닌가

입력 2024-01-21 23:44
업데이트 2024-01-21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개혁신당 당기 힘차게 흔드는 이준석 대표
개혁신당 당기 힘차게 흔드는 이준석 대표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개혁신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당기를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이끄는 개혁신당이 그제 공식 출범했다. 개혁신당은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이준석 정강정책위원장을 초대 당대표로 추대했다. 이에 맞춰 제3지대 세력 간 ‘빅텐트’ 논의도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다만 이들의 연대 움직임과 별개로 과연 이들이 내세운 ‘새로운 정치’가 구호를 넘어서는 외피를 갖출 것인지는 의문이다.

당장 개혁신당이 ‘개혁’이라는 이름값을 할지부터가 비관적이다. 당 지도부 면면이 우선 그렇다. 초대 사령탑에 추대된 이 대표는 정책위의장에 김용남 전 의원을, 최고위원 3인에는 천하람·허은아·이기인 창당준비위원장을 임명했다. 사무총장은 국민의힘 시절부터 이 대표를 보좌한 김철근 전 당대표 정무실장이다. ‘천아용인’(천하람·허은아·김용태·이기인)의 일원들을 포함한 최측근을 당 지도부에 그대로 앉힌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1인 체제로 굳어지는 상황에서 ‘이준석을 위한 이준석당’에 그친다면 뭐가 새 정치이고 뭐가 개혁인지 알 길이 없다.

정책 공약에 대한 고민도 보이지 않는다. 이 대표가 창당을 앞두고 발표한 ‘만 65세 이상 지하철 무상 이용 혜택 폐지’가 대표적이다. 만 65세 이상 노인들에 대한 혜택을 폐지하고 연간 12만원을 지급한다는데 대한노인회는 말할 것 없고 다른 제3지대 세력들도 ‘세대 갈라치기’라며 우려했다. 과연 어떤 논의 과정을 거친 정책인지부터가 의문이다. 이 대표는 창당대회에서 “빅텐트 골든타임은 이미 지났다”며 그 자리에 모두 모인 제3세력 주요 인사들을 당혹하게 했다. 연대 논의를 시작하기도 전에 자기 몸값부터 올려놓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측근으로 지도부를 꾸리고 즉흥적인 정책 발표를 이어 갈 거면 ‘개혁신당’이라는 간판부터 바꿔 달기 바란다.
2024-01-22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