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제2의 도쿄선언’으로 위기 극복 모멘텀 찾아야

[사설] ‘제2의 도쿄선언’으로 위기 극복 모멘텀 찾아야

입력 2023-02-09 01:07
수정 2023-02-09 0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재용(가운데) 삼성전자 회장이 7일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를 찾아 현장 임원들로부터 사업 현황을 보고받으며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재용(가운데) 삼성전자 회장이 7일 삼성디스플레이 아산캠퍼스를 찾아 현장 임원들로부터 사업 현황을 보고받으며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1983년 2월 8일 고 이병철 삼성 창업주는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일명 ‘도쿄선언’이다. 인텔이 ‘과대망상증 환자’라고 조롱할 정도로 당시로선 무모한 일로 여겨졌다. 하지만 첫해에 세계 세 번째로 64K D램을 개발했고, 10년 만에 메모리반도체 글로벌 1위에 오르는 괴력을 보여 줬다. 이후에도 각종 세계 최초 개발 기록을 경신하며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굳건히 유지해 왔다.

40년 전 한 기업가의 혜안과 과감한 도전이 없었다면 한국은 여전히 반도체 후진국에서 벗어나지 못했을지 모른다.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무기인 반도체산업 육성과 시장 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도쿄선언’의 정신과 의미는 더욱 각별할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가 직면한 위기 상황은 녹록지 않다. 지난해 4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97% 급락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를 비롯한 비메모리시장은 대만의 TMSC에 뒤처져 있다. 메모리반도체는 세계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언제라도 추월당할 수 있는 위태로운 처지다.

‘제2의 도쿄선언’ 정신으로 위기 극복의 동력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재용 회장의 리더십이 중요한 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1987년 불황기에 투자를 줄인 일본과 달리 신규 라인을 늘려 호황기에 대비했던 사례처럼 초격차 기술을 위한 선제적인 투자에 나서야 한다. 정부와 국회의 전폭적인 지원도 절실하다. 미국은 5년간 527억 달러(약 69조원)를 투입하는 반도체법을 제정했고, 일본은 자국에서 10년간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이면 국적을 따지지 않고 설비투자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까지 내놨다. 야당에 발목 잡힌 반도체특별법(K칩스법)부터 서둘러 처리해야 할 것이다.
2023-02-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한강'의 새로운 영문표기 'Hangang River'
서울시가 ‘한강’의 영문표기와 관련해 'Hangang River'로 통일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불필요한 의미 중복이라는 지적이 나오며 이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Hangang River'가 맞다고 생각한다.
'Han River'가 맞다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