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사우디 40조원 투자 계약, 경제 활력 불어넣길

[사설] 한·사우디 40조원 투자 계약, 경제 활력 불어넣길

입력 2022-11-17 20:26
업데이트 2022-11-18 0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70조 네옴시티, 우리 경제에 단비
정부, 차질 없도록 측면 지원 힘써야

이미지 확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가 17일 서울 용산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회담과 환담 오찬 일정을 마친 뒤 떠나기 전 윤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가 17일 서울 용산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회담과 환담 오찬 일정을 마친 뒤 떠나기 전 윤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어제 방한해 윤석열 대통령과 한국 기업인들을 잇따라 만났다. 윤 대통령은 서울 한남동 관저에서 150분간 회담과 오찬을 함께했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 8명은 숙소인 소공동 롯데호텔로 찾아가 면담했다. 만 하루 체류 일정의 빈 살만 왕세자 방한에 정부와 재계가 이토록 공을 들인 이유는 오일머니로 자금이 풍부한 사우디가 추진하는 막대한 프로젝트들 때문이다. 특히 빈 살만 왕세자가 직접 지휘하는 친환경 미래도시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총사업비 규모가 5000억 달러(약 670조원)로 건설, 철도, 모빌리티, 정보기술(IT)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해 세계 기업들의 수주전이 치열하다.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에 맞춰 이날 한국 주요 기업과 사우디 투자부·기관·기업이 초대형 프로제트 26건의 계약 및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는 소식은 우리 경제지표가 온통 잿빛인 상황에서 단비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6건은 한국 기업과 사우디 정부 간, 17건은 한국 기업과 사우디 기관·기업 간, 3건은 사우디가 투자한 국내 기업 에쓰오일과 국내 건설사 사이의 계약이다. 네옴시티 프로젝트 관련 건설·철도 인프라를 비롯해 석유화학, 바이오, 차세대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며, 투자 규모는 총 300억 달러(40조원)로 추산된다.

사우디는 석유산업 의존도를 낮추고 민간 경제를 육성하고자 2016년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이어 이듬해 그 핵심 사업으로 사막과 산악지대에 서울 44배 규모의 인공도시를 짓는 네옴시티를 공개했다.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비전 2030’ 5대 중점 협력국으로 참여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수주에 힘써 왔다. 그동안 민관이 합심해 노력한 결과가 이번에 일부 성과를 낸 것이다. 이제 시작일 뿐 우리에겐 더 많은 기회가 열려 있다. 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빈 살만 왕세자가 “에너지, 방위산업, 인프라·건설 등 3개 분야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싶다”고 말한 대로 대규모 협력과 투자 계약 성사로 침체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기업의 프로젝트 수주와 차질 없는 사업 수행을 위해 측면 지원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빈 살만 왕세자의 2019년 첫 방한 당시 국내 기업들과 체결했던 양해각서 상당수가 3년이 넘도록 진척이 없는 상황을 허투루 넘기지 않기를 바란다.

2022-11-1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