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항제철 정상화에 정부와 시민 힘 모으길

[사설] 포항제철 정상화에 정부와 시민 힘 모으길

입력 2022-09-12 20:00
업데이트 2022-09-13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소방공무원들이 11일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를 입은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소방청 제공
소방공무원들이 11일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를 입은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소방청 제공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침수된 포항제철소의 고로(용광로) 3기가 빠르면 오늘까지 모두 정상화된다고 포스코가 어제 밝혔다. 지난 10일 포항제철소 3고로에 이어 어제 2고로가 재가동됐고, 오늘 4고로도 재가동된다는 것이다. 이로써 지난 6일 새벽 최대 500㎜의 기록적인 폭우 속에 전기시설과 제철소 대부분이 침수돼 가동이 중단된 고로 3기가 모두 정상화하게 된다. 포항제철소의 고로 가동 중단은 1973년 쇳물 생산 이후 49년 만에 처음으로, 우리 철강 역사의 최대 위기라 하겠다.

고로가 재가동된다지만 철강 생산이 정상화되기엔 아직 많은 시간이 소요될 듯하다. 고로에서 나온 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과 쇳물로 슬래브를 제작하는 연주 설비가 온전치 않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완제품 생산 공정인 압연(열과 압력을 가해 철을 가공) 라인을 얼마나 신속하고 완벽하게 복구하느냐에 정상화 여부가 달렸다. 압연 라인 복구가 지체되면 선박에 투입되는 후판, 자동차와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냉연강판, 건설 현장에서 필요한 선재 등등의 공급이 상당 기간 원활하지 못해 관련 업계가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본지 지난 11일 보도에 따르면 포항제철소 공장 모터 수만 개가 진흙과 오물에 덮여 있어 설비 복구에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불량률도 높을 수밖에 없어 예전의 고품질 완제품을 생산하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얘기다. 포스코는 추석 연휴 기간 임직원과 협력업체 직원 등 8000여명을 동원해 시설 복구에 나서는 한편 광양제철소 가동률을 높이는 등 분투를 이어 가고 있으나 완전 정상화까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될 듯하다. 포철의 생산 차질이 산업 전반에 깊은 주름을 안기지 않도록 정부와 지역사회도 보다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겠다.

2022-09-13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