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거리두기로 버는 시간에 의료체계 재정비하길

[사설] 거리두기로 버는 시간에 의료체계 재정비하길

입력 2021-12-16 20:08
업데이트 2021-12-17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방역당국이 단계적 일상회복  45일만에 백기를 들고 16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선언한 가운데  붕괴 직전에 놓인 의료 시스템의 재정비가  긴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연합뉴스
방역당국이 단계적 일상회복 45일만에 백기를 들고 16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선언한 가운데 붕괴 직전에 놓인 의료 시스템의 재정비가 긴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연합뉴스
좌고우면하던 정부가 결국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결정했다. 어제 방역당국이 18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4명으로 사적 모임을 제한하고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도 밤 9~10시로 축소하기로 했다. 기대가 컸던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실시 45일 만에 백기를 든 것이라 안타깝기 그지없다. 철저한 준비와 근본적 대책 없이 땜질식 처방에 치중해 온 정부의 실책이 아닐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국민들께 송구하다”고 사과한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뒤늦게 강력한 거리두기로 회귀했지만 상황은 몹시 암울하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어제 브리핑에서 “유행이 악화할 경우 12월 1만명, 내년 1월 중엔 최대 2만명까지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런 추세라면 위중증 환자 역시 최대 1900명까지 늘어날 것이란 경고음도 요란하다. 무엇보다 의료 시스템 자체가 붕괴되고 있다는 위기감이 크다. 수도권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90%에 육박해 한계에 도달했다. 여기에 위중증 환자는 989명, 확진자는 7828명까지 급증했다. 병상 부족으로 적절한 의료진의 도움도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비극적 사태를 최우선으로 막아야 한다.

전체 병원의 10%에 불과한 공공병원이 코로나19 확진자의 80%를 치료해 왔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이미 7000명을 넘어선 상태에선 역부족이다. 병상 부족을 이유로 재택치료 원칙 방침으로 선회했지만 행정력과 관리 인력 부족으로 응급상황 때엔 적절한 치료조차 못 받는 사례도 많다.

확진자 급증으로 중증환자는 물론 일반 환자 진료까지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져 의료 시스템 자체가 붕괴 직전의 상황에 직면했다. 전체 병원의 90%에 해당하는 민간병원이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공동으로 분담하는 공공·민간 병원 협력 대응체계 구축이 절실하다. 2주간의 강력한 방역 조치 기간 장기전에 대비해 전면적으로 의료 시스템을 복구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의료진의 대대적 보완을 포함해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대응체계도 조속히 가동하길 당부한다.

2021-12-1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