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악플 논란 속 주목되는 다음의 댓글·실검 폐지 실험

[사설] 악플 논란 속 주목되는 다음의 댓글·실검 폐지 실험

입력 2019-10-27 22:46
업데이트 2019-10-28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형 포털사이트 다음이 연예 뉴스의 댓글을 폐지하고, 인물 연관 검색어와 실시간 이슈 검색어(실검)에 대해서도 폐지를 포함한 개편 방안에 착수하기로 했다. 연예 뉴스 댓글 폐지는 이달 내로, 인물 연관 검색어 노출 중단은 올해 안으로 추진된다.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 경영진은 “댓글 서비스의 시작은 건강한 공론장을 마련한다는 목적이었지만, 지금은 그에 따른 부작용 역시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인격 모독 수준이 공론장의 건강성을 해치는 데 이르렀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여론을 호도할 우려가 있는 실검과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등도 인격권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악성 댓글에 시달리다 지난 14일 스스로 세상을 떠난 설리의 비극을 계기로 무차별적인 인격 모독성 악플 문화의 폐해에 대한 경각심이 어느 때보다 고조된 상황에서 포털 사업자가 수익 일부를 포기할 각오로 해결 방안을 제시한 것은 의미 있다. 연예 뉴스로 한정된 댓글 폐지 결정을 두고 일각에선 실효성과 표현의 자유 제한에 대한 우려가 나오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한다.

많은 전문가가 지적하듯 댓글 폐지가 능사는 아니다. 그러나 지금처럼 악성 댓글과 혐오 콘텐츠의 생산 및 유통에 취약한 플랫폼 환경을 방치한 채 이용자의 윤리 강화와 자정 노력에만 기댈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런 차원에서 다음의 연예 뉴스 댓글 폐지와 실검 개편 실험은 그 자체로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아쉬운 건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진영 간 대결, 광고판으로 변질된 실검 제도를 이대로 놔둬선 안 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네티즌의 자발적 검색 결과라도 여론을 왜곡하고, 다수를 불필요한 광고에 노출시키는 부작용에 대해선 네이버도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2019-10-28 3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