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보사 의혹 밝히되 바이오산업 발목 잡지 않기를

[사설] 인보사 의혹 밝히되 바이오산업 발목 잡지 않기를

입력 2019-05-06 22:30
업데이트 2019-05-07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오롱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골관절염 유전자 치료제 ‘인보사 케이주’(인보사) 논란이 심각하다. 인보사의 핵심 성분이 허가받은 연골세포가 아닌 신장세포로 뒤늦게 확인된 것도 충격인데, 코오롱이 이를 이미 2년 전 알고 있었다고 한다. 해당 신장세포는 종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데, 이를 알면서도 신약 시판을 추진했다면 생명윤리를 저버렸다는 점에서 대충 덮고 지날 문제가 아니다.

2년 전 인보사가 퇴행성 관절염 신약으로 소개됐을 때 기대는 대단했다. 코오롱의 쾌거를 넘어 세계 바이오업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았다. 인보사는 2017년 7월 국내 판매 허가를 받았고, 미국에서는 지난해 말 임상 3상이 개시됐다. 이 성과들은 인보사의 성분이 연골유래세포임을 전제한 결과였다. 만약 2년 전 인보사의 주성분이 신장유래세포로 확인됐다면 국내 판매나 미국 임상 허가는 늦춰졌거나 불가능했을 수 있다. 인보사의 국내 판매와 미국 내 임상은 모두 중지됐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인보사를 개발한 지난 15년간 약품의 주성분을 잘못 알고 있었다고 해명한다. “2년 전 인보사 위탁 검사에서 미국 내 자회사인 티슈진으로부터 바뀐 성분 결과를 보고받았으나 연구진이 그 의미를 몰랐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 생명을 다루는 의약품의 성분을 간과했다는 건 말이 안 되는 변명이다. 이번에 성분 착오가 밝혀진 것도 코오롱과 수출 계약 문제로 소송 중인 일본 제약업체를 통해서다.

코오롱측이 잘못된 주성분을 고의로 은폐했는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해야 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부실 검증을 했는지 모든 부분을 명백히 가려야 한다. 아울러 철저한 진상규명이 바이오산업의 발목을 잡는 일로 확산되는 것은 지양할 일이다. 바이오산업의 규제완화를 골자로 한 ‘첨단바이오법’은 인보사 파동으로 뒤늦게 국회 문턱에 걸려 오도 가도 못하고 있다.

2019-05-0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