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닥난 혈액 재고, 손 놓고 있을 때 아니다

[사설] 바닥난 혈액 재고, 손 놓고 있을 때 아니다

입력 2017-09-08 22:44
업데이트 2017-09-09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혈용 혈액 부족 사태가 보통 심각하지 않다. 대한적십자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혈액 적정 보유 일수가 130일에 지나지 않았다. 2015년에 견줘 69일이나 부족했다. 2012년 186일, 2013년 286일, 2015년 199일로 지난 5년 중 지난해가 가장 짧았다. 혈액 적정 보유량인 ‘5일분’을 200일도 유지하지 못한 해가 3년이나 됐다고 한다.

물론 이 같은 지경의 가장 큰 이유는 헌혈자가 줄어든 탓이다. 지난해 헌혈 건수는 286만건으로 전년보다 7%나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헌혈은 80여만건으로 전년보다 13%나 줄었다. 주로 군에 입대한 남성 병사의 혈액 수급에 크게 의존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헌혈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10·20대 인구 층이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여서 조짐이 심상치 않다. 그나마 지난해 30대 계층의 헌혈이 9% 넘게 증가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겨우 면했다. 어제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공동으로 혈액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한 비상대응 훈련을 한 것도 심각성을 알리자는 취지에서였을 것이다.

바닥난 혈액 재고를 보면서 언제까지 발만 동동 구를 수는 없는 일이다. 우선 40·50대 중년층을 헌혈 대열로 이끌어 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지난해 헌혈자는 40대 9%, 50대 3.5%, 60대가 0.6%에 불과했다. 또 헌혈에 대한 괴담과 불신, 즉 ‘헌혈하면 건강이 나빠진다’거나 ‘혈액은 돈 주고 사고판다’는 따위의 인식을 뜯어고쳐야 한다. 혈액 수급이 널뛰기를 하는데도 방치로 일관하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30%를 밑도는 여성 헌혈자 수를 늘릴 방안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복지부와 대한적십자사의 몫이다.

대한적십자사 회장(옛 총재)을 적십자 본연의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인사로 내려보내 혈액 부족 사태를 야기한 측면이 컸다. 혈액 사업은 무료로 헌혈을 받고 유료로 판매하는 적십자의 독점 사업이다. 몇 해 전 국정감사에서는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헌혈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사달이 난 적이 있다. 2012년 3월 취임한 유중근 총재가 단 한 차례도 헌혈을 하지 않아 2013, 2014년 국감에서 도마에 올랐다. 그를 이은 김성주 총재도 같은 이유로 구설수에 휘말렸다. 총재도 하지 않는 헌혈을 누가 하겠느냐는 비판이 나온 건 당연했다. 신임 회장은 혈액 사업 독점구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부터 샅샅이 살피기 바란다.
2017-09-09 23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