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리 안의 올림픽 정신 차분히 돌아볼 때

[사설] 우리 안의 올림픽 정신 차분히 돌아볼 때

입력 2014-02-17 00:00
업데이트 2014-02-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 선수가 그제 소치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경기에서 금메달을 땄다. 축하를 보내면서도 한편으론 씁쓸함을 지울 수 없다. 안 선수의 금메달이 우리나라의 몫일 수도 있다는 아쉬움이 진하게 남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언급했듯 우리 체육계의 파벌주의와 줄세우기 등 퇴행적 행태는 도를 넘었다. 이번 안 선수 사례를 계기로 쇼트트랙계는 물론 체육계 전반의 부조리와 구조적 난맥상을 살피고 잘못을 바로 잡아야 한다. 나아가 우리가 과연 올림픽 정신을 얘기할 자세가 되어 있는지 스스로 따져봐야 한다.

근대 올림픽을 창시한 피에르 쿠베르탱 남작은 올림픽 대회의 의의는 ‘승리가 아니라 참가’에 있다고 했다. 성공의 결과 못지않게 과정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 이래 면면히 이어져 온 올림픽 정신이다. 이번 대회에서도 메달보다 빛난 올림픽 정신이 감동을 주고 있다. 크로스컨트리 남자 15㎞ 경기에서 1위보다 27분 늦었지만 혼신의 힘으로 결승선을 통과한 페루의 스키선수, 스키가 두 동강 난 러시아 선수에게 달려가 자신이 갖고 있던 스키로 갈아 끼워 준 캐나다 대표팀 코치…. 학벌과 파벌로 선수를 줄 세우고, 짬짜미와 폭력, 군 혜택 논란 등으로 내홍을 빚어온 우리 체육계 풍토에서는 선뜻 기대하기 어려운 모습이다. 대한빙상연맹 홈페이지가 질타와 비판으로 마비되고, 안 선수 관련 기사에 한국 쇼트트랙계를 원망하는 댓글이 잇따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넓게 보면 체육계 일부의 난맥상은 우리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땀과 노력, 실력보다는 ‘우리가 남이가’식의 내편 챙기기가 횡행하고,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천박한 성과주의에 매몰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이 우리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의 자화상이 아닌가. 안 선수의 사례를 체육계 일각의 문제로만 치부할 수 없는 이유다.

물론 이규혁, 이상화, 김연아 등 대다수 우리 선수들의 도전정신과 투지를 폄하해서는 결코 안 된다. 노메달의 땀과 끈기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또 다른 결실을 맺을 수도 있다. 다만 차기 대회 주최국으로서 이 같은 일이 되풀이된다면 두 번 다시 씻기 어려운 치욕과 불명예로 남을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체육계 풍토를 일신하고 우리 안의 올림픽 정신을 차분하게 되돌아볼 때다.
2014-02-17 3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