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수원 존폐 걸고 원전 안전성 확보하라

[사설] 한수원 존폐 걸고 원전 안전성 확보하라

입력 2012-12-07 00:00
업데이트 2012-12-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광·울진 원전에 이어 고리원전 3, 4호기의 주요 시설에도 위조·불량 부품이 무더기로 공급된 것이 감사원의 국가 핵심기반시설 위기관리 실태조사 결과 드러났다. 영광·울진 원전의 경우 원전부품 수입업체가 외국의 품질증명서를 위조해 부품을 공급했는데 이번에는 국내 부품제작사가 비파괴검사협회 등이 발급하는 시험성적서를 위조했다는 것이다. 안전과 직결된 냉각해수펌프 부품까지 포함됐다고 한다. 현재 23기 원전 가운데 9기에 위조부품이 장착된 것으로 밝혀졌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됐는지 어이가 없을 뿐이다.

더욱 개탄스러운 것은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한수원 직원들의 행태다. 지난 7월 한수원 직원 22명이 납품과정에서 조직적으로 뒷돈을 받아 무더기로 구속된 데 이어 이번 조사에서는 고리원전 직원 2명이 납품업체와 짜고 원전부품 대금 16억원을 횡령한 사실이 새로 드러났다. 한수원은 연봉 1억원 이상을 받는 직원이 625명이나 되고, 추가 수당이 근로자 평균연봉보다 높은 직원이 175명이나 되는 조직이다. 그것도 모자라 위조부품을 묵인하고, 납품업체와 입찰 가격을 담합하고, 예비부품을 빼돌리며 검은돈을 챙긴 직원들의 뻔뻔함과 대범함이 놀랍다. 일부 시민단체에서 “한수원의 원전 가동 권한을 회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일면 이해가 간다.

원전 관리·감독에 1차적 책임이 있는 한수원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환골탈태하지 않는 한 더 이상 존재 의미를 찾기 어렵다. 구석구석에 CCTV를 설치해서라도 그동안 지적돼 온 폐쇄적인 조직문화와 느슨한 안전의식을 다잡아야 한다. 지연·학연으로 얽힌 인맥의 뿌리를 뽑고 내부 감사 기능과 검증 시스템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지식경제부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차제에 한수원의 조직과 기능을 원점에서 재정립하고, 국내 원전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을 실시할 것을 당부한다.

2012-12-07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