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당, 청와대에 대안 제시하는 여당 돼야

[사설] 한나라당, 청와대에 대안 제시하는 여당 돼야

입력 2010-08-31 00:00
업데이트 2010-08-31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 하반기로 접어든 시점에 여당인 한나라당이 변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태호 총리 후보자 등 3인에 대한 청와대의 임명 관철 의지를 한나라당이 낙마 불가피론으로 꺾었다. 거대여당으로서 숫자로 밀어붙이던 거수기 역할에서 벗어났다. 민심에 신경 쓰는 국회의원들이 2012년 4월 총선을 걱정한 측면도 있지만 청와대에 비토를 놓았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낙마 파동의 원인이 된 청와대의 인사 검증라인 개선을 요구하고 나서 개선될지도 주목된다. 국민들은 이같은 움직임이 청와대와 여당의 역학 관계가 질적으로 변하는 계기가 될지 지켜보고 있다.

한나라당은 이번에 청와대의 독주에 제동을 거는 견제력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진정한 집권당의 모습을 보여 주기 위해서는 청와대의 독주를 견제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어제 한나라당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당이 국정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지만 당·청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 환골탈태한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한다. 활발한 당·청 소통으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청와대가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탕평인사 건의 등 가시적 해법도 내놓아야 한다. 당·청 엇박자를 우려하는 시선도 불식해야 한다.

당·정·청 관계는 생산적으로 변해야 한다. 당·정·청은 최근 행정고시 폐지, 통일세 신설 등 중요한 사안을 정부가 사전에 당과 협의 없이 발표하면서 불협화음을 빚었다. 당·정·청 간 상시적 협의와 대안 제시가 이뤄져야 한다. 한나라당은 활발한 3자 소통을 통해 집권여당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하는 정책 능력을 보여 줘야 한다. 게다가 낙마 파동을 계기로 한나라당의 입지가 확대됐다고 단정하기에는 아직은 이른 감이 있다. 한나라당이 내후년 총선과 대선에서 여당의 역할을 해낼 수 있을지 여부는 앞으로 하기에 달려 있다. 한나라당은 국민들이 공정한 사회를 실감할 수 있도록 민심이 국정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주도해야 한다. 그것이 총선 득표전략이기도 하다. 한나라당의 변신 시도가 일회성 이벤트로 그쳐선 안 된다.
2010-08-3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