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똑똑 우리말] ‘주십시오’와 ‘주십시요’/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주십시오’와 ‘주십시요’/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2-10 16:24
업데이트 2021-02-11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 연휴 5인 이상 집합 금지에도 주요 관광지의 숙박 예약이 일찌감치 끝났다고 한다. 방역 당국은 명절 이후 코로나19의 재확산을 막기 위해 연휴 기간 이동을 자제해 줄 것을 호소했다. “귀성이나 친지 방문, 여행을 자제해 주십시오.” “5인 이상 모임을 하지 마십시오.”

위와 같은 당부형 문장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주십시오’, ‘마십시오’의 표기이다. 앞 모음 ‘이’의 영향을 받아 마지막 어미가 ‘요’로 소리 나기 때문에 ‘주십시요’, ‘마십시요’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문장을 끝내는 종결어미는 ‘-요’가 아니라 ‘-오’이다. 하십시오체뿐 아니라 “도와주시오” 같은 하오체 문장도 마찬가지다. ‘-요’는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다.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다”처럼 사용한다.

“돈이 없어요”, “잠이 안 와요”에서의 ‘요’는 뭘까. 어미 뒤에 붙어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연결어미 ‘-요’나 종결어미 ‘-오’는 생략할 수 없지만 보조사 ‘요’는 없어도 말이 된다. “돈이 없어”, “잠이 안 와”라고 해도 무방하다.

‘-오’와 ‘-요’를 헷갈리게 하는 요소는 또 있다. 바로 해요체다. 하십시오체와 하오체 자리에 두루 쓰이면서 혼란을 부른다. “말씀하세요”에서 ‘-세요’는 ‘-시어요’의 준말이다. ‘-시-’는 선어말어미고 ‘-어’는 종결어미다. 이들 어미 뒤에 붙은 ‘요’는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말씀하셔요”도 마찬가지로 “말씀하십시오”와는 구별해야 한다.

oms30@seoul.co.kr
2021-02-11 2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