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물桶/김종삼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물桶/김종삼

입력 2022-07-14 20:22
업데이트 2022-07-26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물桶/김종삼

희미한
풍금(風琴) 소리가
툭 툭 끊어지고
있었다

그동안 무엇을 하였느냐는
물음에 대해
다름 아닌 인간(人間)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桶) 길어다 준 일밖에 없다고

머나먼 광야(廣野) 한복판
얕은
하늘 밑으로
영롱한 날빛으로
하여금 따우에선

물 긷는 일은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없어진 일이 되었을 줄 안다. 이웃들과 더불어 우물물을 먹던 시절 물 긷는 일은 고된 일이었고 허드렛일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물’은 어떤 물건이던가. 모든 생명 현상의 근본 바탕이고 오염된 모든 것을 깨끗이 하자는 일의 매개물이다. 이 시는 저승길의 시다. 장례식의 ‘풍금 소리’를 뒤에 둔 한 영혼이 먼 길을 간다. ‘머나먼 광야 한복판’ ‘영롱한 날빛(햇빛)’이 영혼에게 묻는다. 이제 곧 올라갈 ‘얕은 하늘 밑’이다. ‘따(땅) 우에선’ 무엇을 하였느냐는 질문이다. ‘영롱한’ 질문이었으리라. ‘(목마른) 인간(人間)을 찾아다니며 물 몇 통(桶) 길어다 준 일밖에 없다’고 답한다. 이 구절은 겸사(謙辭)의 언어이지만 슬픔이 가득하다. 뜻 있는 삶이란 미리 죽음의 자리에 가서 ‘지금’을 바라본다. 그러면 사는 의미가 보인다. 김종삼에게 ‘물통’은 ‘시’였으리라. 예나 지금이나 ‘물통’ 진 자는 별 대접을 바라지 않는다. ‘물통’을 배달하게 되어 기쁘다.

장석남 시인
2022-07-15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